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최근 일본과 필리핀에서 숨쉴 사이 없이 터져 나오는 화산분출. 기후학자들은 화산이 기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내려고 벼르고 있다.1980년대 초의 어떤 저녁 해질 무렵. 수평선을 바라보다 평상시의 붉은 빛 대신 보랏빛 놀을 본 많은 멕시코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에 감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연출한다. 이러한 이유로 7월은 관측자들에게는 가장 바쁜 시기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천문
클럽이 관측여행을 떠나고, 또 별지기들의 대규모 잔치가 해마다 열린다.그러면 이 시기에 가장 인기있고 아름다운 천체는 무엇일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산광성운(또는 발광성운)이다. 한 여름밤의 ... ...
하와이의 대형망원경 맹활약 기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일어나는 동안에는 평상시에 관찰하기 힘든 태양의 코로나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천문
학자들은 태양 외각층에 형성된 코로나(전기적으로 하전된 플라즈마)가 왜 태양 표면보다 더욱 고온인 1백만℃나 되는지를 아직 알지 못한다. 이번 개기일식은 3.6m 대형망원경이 활약할 수 있으므로 코로나를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발맞춰 교육간사를 중심으로 한 교육지원팀을 구성했다. 아울러 올여름 한국 아마추어
천문
학 역사상 최대 규모의 별잔치(star party)를 열 예정이다. 자세한 문의는 전화 (02)453-8158로 하기 바람 ... ...
태양표면 폭발로 지구 자기폭풍발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지구자기장이 수초에서 수분사이에 급격하게 변동하는 것을 말하는데 1741년 스웨덴의
천문
학자 A. 셀시우스가 오로라현상에 수반해서 지구 자기가 변하는 것을 최초로 발견했다. 태양표면의 폭발로 태양에서 지구로 오는 전자, 양성자 등의 입자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그 압력에 의해 지구자기장이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사실을 근거로 우주의 기원을 창조주로 돌리려 하는 것은 과학적인 태도가 아니다. 2
천문
학자이며 무신론자인 영국의 프레드 호일경은 지구상에서 생명이 우연히 생길 수 있는 확률은 10의 4만승분의 1이라고 했다. 그래서 그는 결론적으로 "창조주가 있음에 틀림없다”고 했다. 프레드 호일경의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맞이한다. 즉 이 침략전쟁의 전리품으로 동활자(銅活字) 도자기 유학(주자학) 그리고
천문
학 수학 등의 과학서적을 반입해가서 근세문화를 이룩하는 중요한 계기로 삼았다.특히 일본의 독자적인 수학이라고 자랑하는 와산(和算)이 한국에서 반출해간 수학서의 연구에서 비롯됐다는 사실은 주목할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현대우주론이 한 분야로 자리잡았으며 기술과학의 발달로 관측
천문
학이 발전, 전파
천문
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도 등장하게 됐다. 또한 과학혁명기를 통해 연관을 맺기 시작한 과학과 기술은 20세기 자연과학에 기초한 새로운 기술공학의 탄생으로 더욱 밀접한 연관을 맺게된다. 즉, 현대 자연과학은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parsec)우주공간에서 천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가장 큰 단위. 1파섹은 3.26광년으로 1AU(
천문
단위,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의 20만 6천배이며 3.09×${10}^{13}$km의 길이다. 파섹의 물리학적인 정의는 연주시차(年周視差)가 1"(초)가 되는 거리를 말한다. 파섹이란 말의 어원은 시차(parallax)와 초(second)의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될 것인가?또 그것도 아니라면 우주는 또다른 변화를 맞을 것인가?바로 이러한 질문들이
천문
학자들을 흥미진진하게 만드는 것이다.Has astrophysicist Paul S. Wesson, of the University of Waterloo in Ontario, solved a problem that has been annoying astron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