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실제로 관측됐다. 고리가 어두운 이유천왕성에도 고리가 있다는 사실은 1977년 세팀의
천문
학자들에 의해서 우연히 발견됐다. 그들은 천왕성이 흐린 별의 전면을 통과하는 현상을 관측하고 있던 중, 천왕성이 이 별을 완전히 가리기 전에 별이 몇번 순간적으로 어두워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것은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수 있을 뿐더러
천문
정보를 위해서라면 국제전화와 팩시도 무료다. 일반인을 위해 매주
천문
정보 안내전화도 가설해 놓았다(02)455-1772. 때문에 전화요금만 해도 1년에 3백만 원씩 나온다고 한다.지금까지 김씨의 사랑방에서 먹고 자며 망원경을 갈았던 인원은 1백20여명. 이들 중에는 이미 사회의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받은 담배상자에 붙어있던 고생물카드에 매료되어 화석수집에 열중했고 다음에는
천문
학에 매달려 자작 망원경으로 천체관측에 빠졌다. 클라크는 국민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지만 상급학교에는 진학하지 않고 공무원 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해 회계감사원이 되어 런던으로 이주한다.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예언됐던 아인슈타인의 이른바 원환의 존재를 밝힌 최초의 증거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천문
학자들은 이렇게 중력의 작용 때문에 생긴 여러 개의 상이나 원환 또는 타원환을 우주의 신기루라고 부르고 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은 그 이론의 증거를 반세기를 넘는 오늘날에도 계속 찾아내고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단지 사람들은 그를 '무릎 꿇은 사람'으로 부른다." 이것은 기원전 3세기경 그리스의
천문
학자이자 시인이었던 아라토스가 이 별자리에 대해 한 말이다.헤르쿨레스자리가 고대 그리스 인들에게 익명으로 남아 있었다는 사실은 이 별자리가 그 이전의 문명, 아마 중동의 바빌로니아 인들에게서 ...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것이나, 이것은 숙련된 기술과 시간을 요구한다. 망원경을 원하는 이들은 먼저 주변의
천문
서클에 가입해 조언을 듣는 것이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곳에는 열악한 한국의 현실 속에서 놀라운 투지와 인내로 버텨온 의지의 한국인들이 당신에게 모든 정보를 재미있게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태양을 포함해서 태양계 모든 천체중에서 가장 가볍다.태양으로부터의 평균거리는 9.592
천문
단위(AU)인 14억2천5백60만㎞이다. 궤도 주기, 즉 토성의 1년은 29.41년이고 궤도가 지구궤도인 황도에 대해서 2.49˚기울어져있다.토성도 목성과 같이 빠른 차등자전을 하기 때문에 자전주기는 적도에서 10시간 1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학비와 생활비 전액이 보장된다는 유학조건은 교육경비가 사회적 지출이 돼야 한다거나 왜 조국을 떠나야만 하는가란 질문을 회피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봉건관 ... 아직 우리의 학도들을 위한 인간적인
천문
학의 방향을 명쾌히 갖지 못한 한 미래의
천문
학자는 부끄러이 펜을 놓는다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문의 사항이 있거나 아마추어
천문
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싶으신 분은 한국아마추어
천문
학회(Korean Amateur Astronomical Society, 약칭 KAAS, 전화(02-453-8158)로 연락하시거나, 매월 넷째주 토요일 오후 4시에 서강대학교 RA 204호실로 오시기 바람.이달의 행성금성/ 황소자리에 위치하며 서서 ...
거리 측정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은하계가 형성되고 뭉쳐졌는가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따라서 지난 1987년의 초신성은
천문
학자들에게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기막힌 보너스를 제공한 셈이다.Back in 1987, there was a gigantic supernova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That supernova yielded a measur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