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여성 수
학자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강연을 했다. 세계 수
학자
들의 가장 큰 축제인 국제수
학자
대회에서 강연을 하는 것은 수
학자
사이에서도 매우 영광스런 일이다. 2010년 오 교수는 *아폴로니안 개스킷에 관한 내용을 강연했다.*아폴로니안 개스킷: 커다란 원 안에 접하도록 작은 원을 반복적으로 채워 넣은 그림을 말한다. 김주리 ... ...
π데이 즐기는 10가지 방법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초대해 ‘종이접기로 체험하는 π의 세계’ ‘π 글짓기 대회’ 같은 체험활동과 수
학자
를 만날 수 있는 장을 제공할 예정이다.이처럼 3월 14일은 수학 공부를 잘하건 못하건 간에 모두가 수학으로 즐거워질 수 있는 날이다. π를 생각하고 관찰하며 수학을 즐기는 날이기 때문이다. 이름이 같은 파이나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6S rDNA의 데이터를 분석해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종류를 어느 정도알게 된 과
학자
들은 그 다음 단계로 이들 미생물의 게놈 전체를 밝히는 ‘메타유전체학(metagenomics)’ 연구를 시작했다. 인체와 거주 미생물의 상호작용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이들이 어떤 유전자를 갖고 있고 어떤 생체물질을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일부가 살아남았지요. 바로 우리요….전반적인 환경 변화가 우리의 멸종 원인이라는 게
학자
들의 공통적인 주장입니다. 1만 8000년부터 시작되는 빙하기가 다가오고 있었어요. 그것도 전에 없이 강력한 추위를 동반한 빙하기였죠. 우리는 호모 사피엔스에 비해 추운 지역에서 살기 좋은 체형을 지니고 ...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야기가 있다. 물리학계에서는 케플러를 물리
학자
라고 하고, 지구과학계에서는 지구과
학자
라고 주장한다. 미안한 말이지만 교육학계에서 이런 현상이 심했다. 결국 케플러의 법칙이 물리2와 지구과학2에 함께 들어갔는데 물리학에서는 케플러의 법칙이란 이름을 못쓰고 다른 이름으로 나갔다.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김: 무선전력전송의 원리는 무엇인가요?박: 공진현상을 이용합니다. 영국의 물리
학자
마이클 패러데이는 19세기에 두 물체의 진동수가 맞으면 서로 같이 진동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 현상은 입력하는 신호의 진동주기와 이 신호를 받는 물체 고유의 진동주기가 일치하면 발생합니다. 이때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국 독자들이 다른 나라에서는 꿈도 꾸지 못하는 호사를 누리는 ”이라고 말했다.“과
학자
가 아닌 이상 깊이 있는 책을 쓸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과학과 예능 사이의 징검다리가 돼 사람들을 많이 끌어당기고 싶습니다.”이윤석 씨는 ‘웃음의 과학’을 통해 과학적 사실을 알아가는 것이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구석기 문명이 존재했다. 구석기 유적 중 하나인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 유적의 경우
학자
들에 따라 3만~4만 년 전부터 20만~30만 년 전까지 연대가 나뉜다. 이때의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로 추정된다. 그러나 완전대체론에서는 호모 사피엔스가 다른 인류의 조상들을 밀어낸 뒤 그 지역을 차지했다고 ... ...
모의 우주선, 257일 만에 화성 착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지냈다. 참여한 우주인은 총 6명으로 러시아, 유럽, 중국 국적을 가진 공
학자
, 의사, 물리
학자
들로 구성됐다. 이들 6명 중 3명이 2월 8일 화성 궤도에 도착해 착륙선에 옮겨 타 화성으로 내려갔다. 이들 가운데 2명이 화성 땅을 밟고 먼저 탐사에 들어간 것이 2월 14일이다.우주인들은 길이 20m, 폭 4m 밖에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선생님을 깜빡했습니다.달팽이: 사실 저희가 농사를 짓는다는 건 알아채기 힘든데 생물
학자
란 사람들 정말 대단합니다. 저희 삶을 소개한 논문이 2003년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라는 학술지에 실린 걸로 기억합니다만. 물론 달팽이도 다 농사를 짓는 건 아니고 현재까지는 바닷가에 사는 달팽이인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