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벼룩 점프의 비밀 풀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고무단백질이 힘을 받아 압축 됐다가 순식간에 늘어난다고 주장했다. 반면 영국의 생물
학자
헨리 베넷-클락은 벼룩의 넓적마디와 발목마디로 이뤄진 다중접합지렛대가 접혔다 펴져 놀라운 뜀뛰기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40년 동안 논쟁해 왔다.서튼 교수팀은 실제 벼룩의 신체조건을 분석해 벼룩의 ...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야기가 있다. 물리학계에서는 케플러를 물리
학자
라고 하고, 지구과학계에서는 지구과
학자
라고 주장한다. 미안한 말이지만 교육학계에서 이런 현상이 심했다. 결국 케플러의 법칙이 물리2와 지구과학2에 함께 들어갔는데 물리학에서는 케플러의 법칙이란 이름을 못쓰고 다른 이름으로 나갔다.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선생님을 깜빡했습니다.달팽이: 사실 저희가 농사를 짓는다는 건 알아채기 힘든데 생물
학자
란 사람들 정말 대단합니다. 저희 삶을 소개한 논문이 2003년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라는 학술지에 실린 걸로 기억합니다만. 물론 달팽이도 다 농사를 짓는 건 아니고 현재까지는 바닷가에 사는 달팽이인 ... ...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짓는 표정인 ‘뒤센미소’를 지었다.여성은 왜 꽃을 좋아하는 것일까. 미국의 진화심리
학자
고든 오리언스는 “꽃이 핀 곳에서는 향후 몇 달 동안 유용한 자원이 난다는 단서가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꽃이 핀 뒤에는 과일이나 견과, 덩이줄기 같은 음식물이 나기 때문에 여자가 꽃을 좋아하게끔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김: 무선전력전송의 원리는 무엇인가요?박: 공진현상을 이용합니다. 영국의 물리
학자
마이클 패러데이는 19세기에 두 물체의 진동수가 맞으면 서로 같이 진동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 현상은 입력하는 신호의 진동주기와 이 신호를 받는 물체 고유의 진동주기가 일치하면 발생합니다. 이때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6S rDNA의 데이터를 분석해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종류를 어느 정도알게 된 과
학자
들은 그 다음 단계로 이들 미생물의 게놈 전체를 밝히는 ‘메타유전체학(metagenomics)’ 연구를 시작했다. 인체와 거주 미생물의 상호작용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이들이 어떤 유전자를 갖고 있고 어떤 생체물질을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갖춰야 한다.주의할 점은 사랑이 이런 조건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화심리
학자
인 전중환 경희대 학부대학 교수는 “사랑에 빠지는 요소는 생물학적, 환경적 요소가 각자의 맥락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했다. 결국 사랑은 각자 처한 상황과 마음이 복잡하게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일부가 살아남았지요. 바로 우리요….전반적인 환경 변화가 우리의 멸종 원인이라는 게
학자
들의 공통적인 주장입니다. 1만 8000년부터 시작되는 빙하기가 다가오고 있었어요. 그것도 전에 없이 강력한 추위를 동반한 빙하기였죠. 우리는 호모 사피엔스에 비해 추운 지역에서 살기 좋은 체형을 지니고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지 2월 18일 호에 소개됐다.미국 예일대 물리
학자
인 더글라스 스톤과 휴이 카오는 전통 레이저를 연구하다가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안티레이저 개념을 생각해냈다. 보통 레이저를 만들 때 갈륨비소 같은 물질을 통과시켜 빛을 증폭한다. 만일 빛을 흡수하는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건축물이 탄생할 것”이라고 공감했다. [전통 가옥을 현대화해 건강에 좋은 집을 짓자는
학자
도 있다.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는 전통가옥을 현대인의 생활습관에 맞도록 변형하자는 것이다.]고령화사회에 접어들면 건강한 집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전망이다. 김태성 경희대 생태의공학과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