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갖춰야 한다.주의할 점은 사랑이 이런 조건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화심리
학자
인 전중환 경희대 학부대학 교수는 “사랑에 빠지는 요소는 생물학적, 환경적 요소가 각자의 맥락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했다. 결국 사랑은 각자 처한 상황과 마음이 복잡하게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김: 무선전력전송의 원리는 무엇인가요?박: 공진현상을 이용합니다. 영국의 물리
학자
마이클 패러데이는 19세기에 두 물체의 진동수가 맞으면 서로 같이 진동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 현상은 입력하는 신호의 진동주기와 이 신호를 받는 물체 고유의 진동주기가 일치하면 발생합니다. 이때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국 독자들이 다른 나라에서는 꿈도 꾸지 못하는 호사를 누리는 ”이라고 말했다.“과
학자
가 아닌 이상 깊이 있는 책을 쓸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과학과 예능 사이의 징검다리가 돼 사람들을 많이 끌어당기고 싶습니다.”이윤석 씨는 ‘웃음의 과학’을 통해 과학적 사실을 알아가는 것이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건축물이 탄생할 것”이라고 공감했다. [전통 가옥을 현대화해 건강에 좋은 집을 짓자는
학자
도 있다.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는 전통가옥을 현대인의 생활습관에 맞도록 변형하자는 것이다.]고령화사회에 접어들면 건강한 집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전망이다. 김태성 경희대 생태의공학과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선생님을 깜빡했습니다.달팽이: 사실 저희가 농사를 짓는다는 건 알아채기 힘든데 생물
학자
란 사람들 정말 대단합니다. 저희 삶을 소개한 논문이 2003년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라는 학술지에 실린 걸로 기억합니다만. 물론 달팽이도 다 농사를 짓는 건 아니고 현재까지는 바닷가에 사는 달팽이인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6S rDNA의 데이터를 분석해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종류를 어느 정도알게 된 과
학자
들은 그 다음 단계로 이들 미생물의 게놈 전체를 밝히는 ‘메타유전체학(metagenomics)’ 연구를 시작했다. 인체와 거주 미생물의 상호작용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이들이 어떤 유전자를 갖고 있고 어떤 생체물질을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셈이 된다.현재 분자유전학을 이용한 연구는 완전대체론을 지지하고 있으며, 주류
학자
들도 이쪽 입장이 많다. 하지만 지난 2~3년 사이에 나온 집단 유전학의 연구 결과와 2010년 막스플랑 크연구소의 연구 결과를 보면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의 유전자에 어느 정도 기여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먼저, 가장 뛰어난 고성능 핵융합 연구장치를 완성했기 때문이다. KSTAR는 전 세계 핵융합
학자
들이 가장 실험해보고 싶은 실험장치로 손꼽힌다.한국은 KSTAR를 설계하고 운용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EU, 일본, 미국 등 핵융합 선진국들만 참여한다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개발 계획에 참여할 수 ... ...
초소형 MEMS 기술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속을 이동시키며 나쁜 병균과 싸우고 아픈 부위에만 약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리
학자
리차드 파인만이 1959년에 발표한 ‘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이란 논문을 보면 수 나노미터에서 수십마이크로미터 세계에는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 이상의 세상이 존재할 거라고 한다. 이것이 현재의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윷에 최적화된 상태다.정달영 숭실대 수학과 교수와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등 수
학자
들은 “4개의 윷과 현재의 윷판은 수학적으로도 가장 재미있는 형태”라고 입을 모은다. *그래프이론에 따르면 윷놀이는 가장 단순화된 최적 경로 찾기로 볼 수 있다. 수학이 어떤 해법을 구할 때 가능하면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