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407건 검색되었습니다.
622조원 투입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연구기관 파견을 확대해 첨단 기술 및 인력 교류를 촉진할 계획이다. 이 밖에 올해부터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EU 집행위(EC)와 공동펀딩 방식으로 반도체 첨단기술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매년 한-미, 한-EU 연구자 포럼을 개최하여 인력교류도 확대한다. 원활한 국제 공동연구를 제도적으로 ... ...
열 손가락 지문 다 다르다는 상식 깨질까...AI가 유사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지문을 식별할 수 있도록 설계한 AI 시스템(Deep Contrastive Network)을 고안했다. 그런 뒤
미국
정부의 공공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한 약 6만 개의 지문에서 한 사람의 각기 다른 손가락 2개의 지문 또는 두 사람의 지문 2개를 입력하고 AI 시스템이 각 쌍의 지문이 동일인의 지문인지, 다른 사람의 지문인지 ... ...
물 표면 뛰어다니는 소금쟁이, 차세대 수중로봇 개발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물 위를 걷고 튀어오르는 68밀리그램의 작은 로봇을 개발한 바 있다. 아담 서머스
미국
워싱턴대 해양생물학과 프라이데이하버 연구실 교수는 "차세대 로봇은 지금보다 더 불규칙한 지형, 변화무쌍한 표면에서 움직일 수 있어야 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이동 궤적을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 ...
연인과의 이별 슬픔 잊는 '뇌 메커니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마주쳐도 더 이상 행복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앤 피어스와 조 도날드슨
미국
콜로라도볼더대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연인과 이별을 경험한 뒤 뇌에서 어떤 작용이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 ...
가장 더웠던 2023년…올해는 더 달아오를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기상변동인지 알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앤드류 데슬러
미국
텍사스A&M대 연구원은 “지구의 기후에 이상이 생겼는지 알기 위해선 앞으로 몇 년 동안 관찰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
NASA, '자동차 문 닫는 소리보다 조용한' 초음속 항공기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소음(소닉붐)을 크게 줄였다. 14일 우주항공계에 따르면 NASA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록히드마틴의 연구시설 '스컹크웍스'에서 X-59를 공개했다. X-59는 1970년대 대서양을 횡단했던 '콩코드' 이후 나온 초음속 항공기다. 최고 속도는 시속 1488km로 콩코드보다 느리지만 ... ...
미국
·일본도 쉽지 않은 달 착륙…2032년 '한국 달 착륙선'은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달 표면에 도달하지 못했다. 달 착륙을 위한 주요 프로젝트들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미국
우주항공국(NASA)은 우주비행사를 달에 보내는 아르테미스 계획의 일정을 1년씩 늦췄다. 우주항공 분야 기술이 발전한 오늘날에도 달에 도달하는 것은 결코 쉽지만은 않은 모습이다. 한국은 2033년까지 달 ... ...
나무 막대기 하나로 알아낸 지구의 크기
2024.01.13
오늘날에는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불과 150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에서 유럽이나
미국
까지 가 본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1519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세계 일주에 성공하기 전에는 그 누구도 지구를 제대로 한 바퀴 돌아본 적이 없었고요. 심지어 지구가 편평하다고 믿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이 들수록 '행복감' 느끼는 이유
2024.01.1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새해를 맞으면 설렘도 크지만 또 한 살 더 먹었다는 데서 오는 막연한 불안감이 있다. 나이가 들어가고 노화가 찾아오는 것을 ...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덜 먹는 습관, 뇌 건강도 지켜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보호하는 메커니즘을 활발하게 만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리사 엘러비와 판카즈 카파히
미국
벅 노화연구소 연구원팀은 식사량을 줄이는 것이 노화를 지연시키고 신경퇴행성 질환의 진행을 늦추는 메커니즘을 발견한 연구결과를 1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