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좁혀지는 인간과 침팬지의 사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인간이 함께 분단의 벽 한쪽에 서서 고릴라와는 분리되어 있다고 볼 수있는 첫번째
신호
가 되었다.물론 많은 생물학자들은 이 교차반응 결과를 받아들이기를 꺼려하면서 과거의 믿음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서서히 실제 유전자를 분석하는 법을 깨닫기 시작했다.유전자는 세포의 화학작용을 ... ...
원숭이도 말 배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추적'(chase)을 가리키더니 장난스럽게 뛰어 달아났다. "그것은 명백히 추적 놀이를 하자는
신호
였다"고 연구책임자인 E. 새비지럼버는 말한다.이후 칸지는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때 늘 같은 행동을 취했다. 몇번씩 반복해서 그림 조합 중에 하나를 가리키고, 말하려는 상대를 바라본 뒤 뛰어 달아나는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1조5천억을 투자할 방침이다.이러한 투자여건의 변화는 이공계 연구환경에 일단 청
신호
로 보인다. 일례로 생긴지 27년이 되는 서울대 공학연구소의 경우 지난 85년 이후 5년간 정부와기업으로 부터 지원받은 금액이 1백70억원으로, 앞선 22년간 고작 40억원을 지원받았던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어야 한다. 감지된
신호
를 인공지능회로에서 처리한다. 물론 감지기의 크기나 감지된
신호
의 처리회로도 아주 작게 만들어야 하므로 이들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그림3)은 6㎛ 두께의 니켈판을 연X선을 써서 식각한 것으로 큰원의 직경이 80㎛ 정도되는 동위원소 분리기다. 이 ... ...
주변기기 활용법/레이저프린터 대중화 문턱에 들어선 무공해 출력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같이 레이저 프린터는 복사기와 기본적인 원리가 같다. 다만 입력되는 정보가 디지털
신호
로 입력되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에 레이저 빔을 사용한다는 것이 다를 뿐이다. 캐논과 제록스 등 기존의 복사기 제조업체가 최근 레이저 프린터 시장에 뛰어든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레이저 프린터는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기 때문에 쥐기도 쉽다. 또 그 부분이 출혈지점인 경우가 대부분이다."가톨릭대 의대
신호
철교수(가정의학과)의 설명이다.지압이라는 1단계 시도로 출혈을 멈추게 하지 못하면 2단계로 넘어가야 한다. 2단계 처치의 기본장비는 지혈 스프레이와 점적약(點滴藥)이다. 이들은 코점막 혈관을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치는 방법이 다르다는 것. '납거미'란 놈은 수신사(受信絲)를 쳐놓고 먹이가 걸리면 진동
신호
를 받아 어슬렁거리며 먹이사냥을 나간다. '염낭거미'는 최고의 모성애를 발휘한다. 억새풀 등을 얽어서 집을 짓고 알을 낳는데 알에서 부화된 새끼가 영양분을 소진하면 어미몸을 바쳐 새끼의 먹이가 된다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신경 회로망'(neural network)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신경망의 계산 모델을 갖고 학습의 원리,
신호
정보로부터 기호적 표현으로의 전환기능, 그리고 논리적인 추론기능 등을 흉내내고자 시도하고 있다. 이미 괄목할만한 연구성과도 나타나고 있다.인공지능은 인간의 가장 인간다운 능력, 즉 보고 듣고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돼
신호
가 전달되는 매개역할을 한다. 즉 뉴런의 전기적
신호
가 연접에서는 화학적
신호
로 번역되는 것이다.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 도파민 세로토닌 등 10여 가지가 현재 알려져 있는데 연접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신경전달물질이 다르다. 많은 향정신약물들은 신경전달물질의 합성과 분비 ... ...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두뇌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없다고 한다. 토론을 할 때는 말하는 과정에서 무의식적인
신호
를 두뇌의 판단통로로 가져올 수 있었던 것이다. 결국 이들이 심리테스트에서 좋은 성적을 내면서도 실생활에 실패하는 이유는 잠재의식의 기능을 잃어 버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