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최신 전자악기 총집합 디지털의 명연주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전자악기의 발전으로 타악기 관악기 건반악기 등 기존 악기분류의 벽이 허물어지고 있다.세상에는 수많은 악기들이 있다. 피아노나 바이올린과 같이 줄을 울려서, 플루 ... 변환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 샘플러는 건반을 칠 때 그 데이터를 다시 디지털
신호
로 바꿔 소리를 내는 악기다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대장기능의 장애이상 때문에 나타난 것이라면 별 문제가 없지만 암이나 게실염의 '
신호
탄'증세라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변비때문에 내과병원을 찾으면 제일 먼저 진단을 받게 된다. 의사는 틀림없이 병력(病歷)과 식습관 등을 물어올 것이다. 또 직장검사 대장검사 등이 이뤄지는데 이때 ... ...
주변기기 활용법-마우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알리는 엔터키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마우스가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전기적
신호
로 바꾸어 컴퓨터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입력 장치에 일대 혁신을 몰고 온 마우스는 소프트웨어 업체들에게 좋은 소재를 제공해 주었고, 많은 프로그램들이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 ...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빼놓을 수 없다. 광섬유는 동력원 이외의 모든 용도에 사용돼 로봇을 제어하는 음향, 영상
신호
전달에 주로 쓰인다. 심해용 로봇에 이용되는 광섬유는 강철과 비슷한 강도를 지니고 있는 가벼운 중합체 케블라(Kevlar)로 강화된 것이다.한편 로봇의 본체 재료로는 티타늄이 사용되는데, 이 금속은 ... ...
HDTV열풍, 일본열도를 강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000'이라고 명명된 이 HDTV
신호
변환기는 HDTV
신호
를 NTSC
신호
로 변환시키는 장치다. 실제로
신호
변환기는 HDTV에 버금가는 화면을 제공해주는데 가격은 1천7백달러.일본의 히다치사도 HDTV의 원리에 기초를 둔 디지털식 비디오테이프 레코더를 개발했다. 이 레코더는 2분의 1인치짜리 메탈테이프를 . ...
초고속 컴퓨터를 탄생시킬 초전도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수도없이 연결돼 있다. 사닥다리 모습을 상상하면 된다.이 구조를 활용해 조그만 입력
신호
(약한 전류)를 주면 두개의 초전도체 끈 사이에 큰 전압의 변화가 발생한다는 것이다.피츠버그에 있는 웨스팅하우스 과학기술센터의 존 탈바치오 박사는 "초전도 유동 트랜지스터를 단층구조로 할 경우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슈퍼마우스도 장안을 꽤 들끓게 했다. 국내에도 바야흐로 거대동물시대가 왔다는 첫
신호
탄을 쏴 올렸기 때문이다. 슈퍼돼지 슈퍼소에 대한 얘기도 덩달아 화제거리가 되었다. 보통생쥐보다 덩치가 두배고, 성장속도가 10배나 빠른 이 슈퍼생쥐는 유전자재조합기술과 수정란미세조작술의 ... ...
정보통신의 새 시대를 선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상대로 의도된 목적방송을 하는 유선방송(CA TV), 방송국에서 텔레비전 전파에 팩시밀리
신호
를 다중화하여 보내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지면상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 팩시밀리방송 등 하루가 다르게 최첨단 뉴미디어가 개발, 실용화되고 있다. 따라서 선진국에서는 국가정책으로 미디어개발에 많은 ... ...
다시 주목받는 갈륨비소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실리콘 반도체보다 우수한 특성이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우선 갈륨비소 내에서는
신호
전류를 운반하는 전자의 속도가 실리콘에서보다 5~6배 빠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를 만들때 갈륨비소반도체는 실리콘 소자보다 반응속도가 그만큼 빠르게 된다. 더욱이 최근 개발된 이질접합구조의 도핑기술을 ... ...
바다에 음파쏘아 지구 온난화 측정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2백7데시벨로도 충분하다.한편 동물학자들은 돌고래나 다른 바다 포유류들이 서로
신호
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가 이 층이라고 생각하기에 음파측정 실험을 반대하고 있다. 실험에 쓰이는 소음이 동물생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팀의 리더인 먼크 박사 자신도 '위험이 없다'고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