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13건 검색되었습니다.
행성 탄생의 순간 포착!
과학동아
l
2018.08.20
된 ‘원시행성 원반층’에 위치해 있다. PDS 70b의 질량은 목성의 수 배에 달했고, 행성
표면
의 온도는 약 1000도로 태양계의 어떤 행성보다도 뜨거웠다. 천문학자들은 행성 탄생의 가설을 입증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해왔다. 가장 대표적인 가설은 항성이 탄생하면 주변에 먼지와 가스로 된 원시행성 ... ...
항생제 없이 박테리아의 바이오필름 제거
과학동아
l
2018.08.16
보호하며 악취와 질병을 유발한다. 최종훈 제공 연구팀은 산처리한 탄소나노튜브
표면
에 구리나노입자를 고르게 합성시킨 나노복합체를 제작했다(사진). 연구팀은 복합체에 전자를 하나잃은 구리이온을 적용해 그간 한계로 지적된 구리의 산화 문제를 해결했다. 이 나노복합체는 일차적으로 ... ...
대장암 예방, 브로콜리를 먹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8.15
섭취시킨 뒤 찍은 장내 모습이다. -Francis Crick Institute 제공 연구팀이 주목한 건 장 세포
표면
에 위치한 단백질인 ‘아릴 하이드로카본 수용체(AhR)’이다. AhR은 외부 박테리아가 들어온 것을 감지한 뒤, 우리 몸의 면역세포나 장내 상피세포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이 단백질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RNA간섭, 20년 만에 의약품으로 결실 맺다!
2018.08.14
타고 다니다 표적인 간세포로 들어간다(b. 나노입자
표면
에 ApoE 단백질을 붙여 간세포
표면
의 ApoE 수용체에 달라붙게 했다). 세포 안에서 나노입자가 해체되며(c) RNA이중가닥이 빠져나와 다이서에서 가공된 뒤 표적인 변이 트랜스티레틴(TTR) mRNA와 상보적인 단일가닥이 RICS에 결합돼 TTR mRNA를 파괴한다 ... ...
전기 잘 통하는 고무로 환자 맞춤형 치료…임플란트-웨어러블 의료기기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8.14
방식이었다. 반면 비슷한 전기전도도를 가진 전도성 고무로 만든 페이스메이커는 심장
표면
전체를 감싸 주기 때문에 재활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며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어 배터리 교체로 인한 환자들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부위별로 전기자극을 ... ...
휴대용 전자기기 옷처럼 입고 다니는 시기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18.08.13
태양광 전지를 개발해 학술지 ‘나노에너지’ 7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티타늄 선의
표면
을 산소와 반응시켜 가공해 잘 늘어나고 세탁도 가능한 섬유형 태양광 전지를 개발했다. 이 섬유 태양광 전지를 지름 1cm 굵기의 원형으로 말아도 성능을 95% 이상 유지하는 등 유연한 게 장점이다. 김병훈 ... ...
태양풍 비밀 파헤친다…NASA, 11일 첫 태양 대기 탐사선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8.10
가스의 온도는 140만 도에 이르지만 연구진은 가스층의 밀도가 낮아 실제 탐사선
표면
이 가열되는 온도는 1300도 수준일 것으로 보고 있다. 탐사선 내부는 29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파커 솔라 프로브는 대표적인 대형로켓 중 하나인 유나이티드론치얼라이언스(ULA)의 ‘델타 Ⅳ 헤비’에 ... ...
김 서리지 않는 스마트 안경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7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는 금속 배선을 안경
표면
에 깔고 미세 전류를 흘려보낸 뒤, 이때 가해지는 열로 습기를 제거하는 기술이다. 금속 배선의 굵기는 머리카락 굵기의 100분의 1 정도인 1㎛(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에 불과하다. 미세 전류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있다. 무엇보다도 생쥐와 사람은 덩치 차이가 크다. 즉 몸이 작은 생쥐는 부피 대비
표면
적의 비가 사람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체온을 쉽게 빼앗길 수 있고 따라서 갈색지방조직이 잘 발달해 있다. 반면 사람은 갈색지방조직이 상대적으로 적어 물 대신 숙신산 음료를 마시더라도 생쥐만큼 효과가 ... ...
실 모양 태양전지 개발…옷에 넣는 웨어러블 기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7
튜브에 싸여 있는 형태다. 연구진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음전극 역할의 티타늄 와이어
표면
을 미세한 패턴으로 산화시켜 빛의 접촉면적을 늘렸다. 아직까지 출력 전압은 0.7V로 작은 시계에 들어가는 상용 수은전지(1.35V)의 절반 수준이다. 하지만 지름이 1㎝인 빨대 위에 돌돌 말아도 전지의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