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축
확립
건설
건립
설계
부착
편성
뉴스
"
형성
"(으)로 총 4,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저장용량·충전속도 두 마리 토끼 다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깨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분자와 분자간 공유결합이나 이온결합처럼 완전한 화학 결합이
형성
되는 ‘가교’를 위해선 100도 이상 고온의 열처리가 필요했다. 공동 연구팀은 실리콘 전극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이온 전도도 향상을 위해 천연 고분자와 결합가능한 붕산과 폴리에틸렌옥사이드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생 식충식물의 사냥비결은 끝이 말리게 진화한 주머니
동아사이언스
l
2020.01.05
통발 모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열대통발기바의 통발이
형성
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두 개(UgPHV1과 UgFIL1)를 찾았다. 이들 유전자는 각각 통발의 옆면과 앞뒷면에서 통발의 벽이 말려들면서 겹층 구조를 만든다. 연구팀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유전자 ... ...
6각으로 각잡힌 얼음, 만들어질땐 '삐뚤빼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관찰해보니 얼음 가장자리 부분에서 일시적으로 5각형 혹은 7각형 형태의 분자 고리가
형성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자리의 49%는 지그재그, 42%는 암체어 구조였으나 9%는 5각형과 같은 다른 구조로 이뤄져 있었다. 연구팀은 물이 어는 과정에 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물과 얼음의 화학 반응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작은 과학이 아름답다
2020.01.03
훈련받은 이들이 대학이나 연구소에 더 잘 자리를 잡으며 일종의 폐쇄적인 네트워크가
형성
된 것도 사실이다. 이런 거대화된 실험실이 전체 과학계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이런 형태의 실험실을 장려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결과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더 작고 다양한 ... ...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
과학동아
l
2020.01.01
이 선배님의 이야기가 실렸습니다. 콩팥이 커진 이유는 콩팥 속에 미세한 관구조가
형성
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대요. doi:10.1177/1535370218758249 실험쥐 대체할 미니 인공장기 ‘오가노이드’ 2019년 12월 3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위령제가 열렸다. 연구원들이 모두 모여 희생된 실험동물을 추모하는 ... ...
삼성·LG, 국제무대서 '2020 가전' 펼친다…CES 한 달 앞으로
연합뉴스
l
2020.01.01
여기에 소니까지 3D TV 경쟁에 합류하면서 "올해 3D TV 시장이 열린다"는 공감대가
형성
된 바 있다.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내년 CES에서는 8K TV를 사이에 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격돌이 펼쳐질 전망이다. 먼저 일본이 내년 도쿄올림픽을 8K 생중계로 방송하는 등 글로벌 업체들이 ... ...
외계행성 19개 화학조성 보니
과학동아
l
2020.01.01
연구원은 “만약 목성과 같은 태양계 행성에서 다량의 물이 발견된다면 외계행성과는
형성
된 방식이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 12월 11일자에 발표됐다. doi: 10.3847/2041-8213/ab5a8 ... ...
백두산 분화땐 지진 피해보다 한반도에 ‘화산재 공포’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열릴 때 만들어진 화산이며 지금의 백두산 천지처럼 분화구에 물이 고인 호수 지형을
형성
하고 있었다. 하지만 1만9000년 전에 마그마가 올라와 분화구의 호수 물과 닿아 막대한 양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며 맹렬히 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드러났다. 1만 년 전 이후에도 세 번의 추가 폭발이 있었으며 ... ...
인류의 미래 내게 달렸쥐∼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수 있다. 허동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바이오공학과 석좌교수는 올 9월 안구 표면을
형성
하는 각막과 결막, 이 위를 덮은 눈물층까지 재현한 칩을 개발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했다. 허 교수는 “안구 독성을 알아보는 동물실험을 대체하거나 신약 개발 및 ... ...
[이정아의 미래병원]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줄기세포로 역분화시킨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다른 척추동물의 배아 초기 단계(낭배
형성
전)에 넣는 실험을 허가하면서, 연구가 활발해졌다. 지난 7월 히로미츠 나카우치 일본 도쿄대 줄기세포연구소 교수팀은 iPSC를 쥐 배아에 넣어 키메라 배아를 만들고, 현재 인간 췌장을 키우고 있다. 췌장이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