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531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원인 '
뇌
염증' 치료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고칠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뇌
질환 분야 국제학술지 ‘신경염증저널’ 11월호에 발표될 예정이다 ... ...
평생 '반핵'을 주장한 노벨화학상 수상자 시모무라 오사무 교수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8.10.23
감염 경로를 확인하는 등 연구성과가 쏟아져 나왔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같은
뇌
질환의 발병 과정을 추적할 수 있었던 것도 녹색형광단백질 덕분이었다. 이 같은 녹색형광단백질의 발견과 응용을 이끈 공로로 시모무라 교수는 2008년 마틴 챌피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로저 첸 미국 샌디에이고 ... ...
IT·NT·BT 성과기업과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경종민 KAIST 교수)은 ‘실시간 휴대용 고해상도 근적외선
뇌
영상장치’를 설명한다. 지능형바이오시스템설계및합성연구단 소개자료. -사진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단장 김선창 KAIST 교수)의 ‘고기능 생리활성 물질 진세노사이드 대량생산 기술’과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단장 이학주 ... ...
치료후 몸 속에서 '스르륵'…저절로 녹는 전자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위한 단기 심장박동기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016년 최초로 생분해성
뇌
압측정기를 개발해 ‘네이처’에 발표했던 강 교수는 “생분해성 전자소자 시장에서 한국이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
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교수는 “
뇌
의 패턴 변화에서 피부색의 패턴을 유추하는 기존 방법이나 피부 변화에서
뇌
의 변화를 역추적하는 방법 모두 중요하다”며 “이를 상호 보완하면 갑오징어의 위장술에 대해 보다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인간 '생체시계' 가진 생쥐로 파킨슨병 원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분자 수준에서 연구해 올해 처음 밝힌 강봉균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기억 관련
뇌
과학의 선구자 중 한 명인 팀 블리스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 교수, 유방암의 새로운 타깃을 연구 중인 정진하 서울대 생명과학부 명예교수 등이 강연을 했다. 피터 그루스 일본 오키나와과학기술대(OIST) ... ...
몸은 죽고
뇌
만 살아있다면… 온전한 인간으로 봐야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될까’라며 연구에 관심을 갖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고 했다. 그는 “이런 문제로
뇌
신경 윤리를 마련할 때는 먼저 ‘정상인의 범주’를 명확히 해야만 그 기준을 벗어나는 상황에 대해서도 정의할 수 있다”면서 “이런 학계의 노력은 인공지능의 윤리적 운영법 등을 개발할 때도 중요한 기준이 ... ...
집단지성의 기부, 과학의 하늘을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8
com 마치 개미나 꿀벌 같았다. 알아서 분업하고, 알아서 완성했다. 어떤 사람은 이게 다
뇌
과학자 정 교수가 꾸민 ‘집단지성 실험실’이라고 웃었다. ‘10월의 하늘’ 제목도 첫해에 행사 기획을 했던 참여자 김준태 씨의 아이디어에서 나왔다. 평범한 시골 소년이 미국항공우주국(NASA) 로켓 공학자의 ... ...
콜레스테롤 수치, 혈액 대신 입 속 ‘침’으로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이용해 콜레스테롤을 확인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수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
과학연구소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진은 17일 입에서 분비되는 침에서 극미량의 콜레스테롤를 감지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고지혈증이나 대사질환과 같은 성인병을 ... ...
모자처럼 쓰면 스마트폰 화면에
뇌
활동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하고 어떤 결정을 하는지에 대해 면밀한 분석이 가능하게 됐다”며 “브레인 마케팅,
뇌
질환 환자 모니터링 등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트랜스액션스 온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8월 27일자에 게재됐다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