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531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음파로
뇌
졸중 후유증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닉스연구단 김형민 박사와 백홍채 연구원이
뇌
졸중 쥐에 초음파 자극을 통해 경과를 확인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 ... 신경개선(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최신호에 게재됐다.
뇌
졸중 재활 목적의 소
뇌
초음파자극 실험 모식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 ...
한국인 표준
뇌
지도로 치매 조기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진행 중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성과가 초기 알츠하이머병에 동반되는 미세한
뇌
손상을 식별할 수 있어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예측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건호 조선대 치매연구단 교수는 “치매 조기진단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한국 등 동아시아인에 ... ...
서울대팀, 파킨슨병 조절하는 유전자 작용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알파-시뉴클린이 어떻게 조절되는지 밝힌 것이 이번 연구의 성과“라며 새로운 퇴행성
뇌
질환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8월 27일 자에 게재됐다 ... ...
‘불안한 나, 겁 없는 너’ 차이는
뇌
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불안감을 유도하는 방식의 치료가 주로 이뤄져 왔다. 하지만 두려움과 불안을 담당하는
뇌
부위를 알면 그 부분만 자극해 부작용 없이 원하는 결과(적절한 불안감 조성)를 얻을 수 있다. 연구팀은 OLM 세포만 활성화시키는 약을 이용해 실제로 불안감을 적절히 끌어올릴 수 있다는 사실도 실험으로 ... ...
‘치믈리에’ 자격증 도전기…치킨의 미래는 과학에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8.09.08
기억은 서로 연관돼있다”며 “특히 맛에 대한 부정적인 기억은 일반 기억과 달리
뇌
에서 특별하게 취급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류 책임연구원은 “미각은 유해한 물질을 걸러내 인체를 보호하려는 생존 기능”이라며 “쓴맛 등 맛에 대한 부정적인 기억은 인간의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일반 ... ...
전자현미경으로 그린 3D 초파리
뇌
과학동아
l
2018.09.07
“
뇌
는 전체를 이해할 때 의미가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토대로 수년 내 완벽한 초파리
뇌
지도가 완성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doi:10.1016/j.cell.2018.06.01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코끼리 후각의 비밀 개코는 정말 개코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31
년 냄새분자와, 코 안에 있는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짝이 맞으면
뇌
로 신호를 보내 냄새를 인지한다는 후각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따라서 다양한 냄새를 맡으려면 다양한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필요하다. 다양한 후각수용체 단백질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 ...
[2019 R&D 예산안] AI 신약개발 등 바이오·헬스 신규사업에 324.5억 원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원) △오믹스 기반 정밀의료기술 개발(60억 원) △정밀의료 산업기반 구축(50억 원) △미래
뇌
융합기술개발사업(36억 원) 등이 포함됐다. 신약개발은 대표적인 고위험‧고수익 산업 분야로, R&D에 소요되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평균 1조원·15년)이 국내 제약사의 글로벌 진출에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남성은 평균 10%이고 여성은 20%로 영장류보다 훨씬 더 높다. 에너지를 많이 먹는 큰
뇌
를 유지해야 하고 사냥같이 체력을 소진할 활동이나 굶주림에 대비하기 위해 에너지를 비축할 수 있게 진화한 결과다. 여성은 수유 등 육아 때문에 추가로 더 필요하다. 수렵채집인이야 체지방을 양껏 저장할 ... ...
뇌
에서 발견한 인간 진화 흔적 '장미열매 신경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설명했다. 트리그베 박켄 앨런
뇌
과학연구소 선임 연구원은 “장미열매 신경세포가
뇌
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알기위해 가까운 영장류 종에서 이런 세포가 관찰되는지 등을 확인하고 비교연구를 실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