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과학 축전’에 참가하게 됐고, 수박씨를 활용해 연료를 만드는 아이디어를 냈어요.Q. 개발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이었나요?우선은 수박씨가 굉장히 단단해서 골고루 빻는 것이 힘들었어요. 가루를 곱게 내야 발효 과정에서도 효율이 높아지거든요. 그런데 제 힘으로는 부족해서 당시 가장 ... ...
- [과학뉴스] 햇빛 받아 이산화탄소로 연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KAIST 화학과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메탄으로 바꾸는 ‘금속산화물 혼성 광나노촉매’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이산화탄소는 매우 안정적인 물질이어서 다른 분자로 변환이 잘 안 된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사용할 수 ... ...
- [과학뉴스] 베이지색 지방이 칼로리 태우는 새 메커니즘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많은 이들이 ‘지방=살’이라고 알고 있지만, 우리 몸에는 에너지를 태우는 지방이 있다. 바로 베이지색 지방이다. 에너지를 태워 ‘다 ... 물질이 들어있음을 확인했다. 카지무라 교수는 “당뇨병 환자나 비만 환자를 위한 신약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nm.442 ... ...
- [과학뉴스] 유튜브로 공부한 AI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간의 관계를 스스로 습득하는 인공신경망인 ‘텍스트투액션(Text2Action)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이 인공신경망에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는 문장을 입력하면, 스스로 언어와 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배우는 원리다. 연구팀은 유튜브 영상에서 2만9770쌍의 언어와 행동 데이터를 추출해 텍스트투액션 ... ...
- [포토뉴스] FDA 첫 승인 받은 센서 탑재 디지털 알약과학동아 l2017년 12호
- 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일본 오츠카제약과 미국 프로테우스 디지털 헬스가 공동개발한 ‘아빌리파이 마이사이트(Abilify Mycite)’다. 이 시스템은 알약과 센서, 패치, 앱 등 4가지로 구성됐다. 먼저 정신질환 치료약인 아리피프라졸 알약 중간에 IEM(Ingestible Event Marker) 센서를 넣었다. 환자가 약을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외에도 얼굴만으로 성격이나 정치적 성향 등 다양한 특징을 알아낼 수 있다는 AI가 개발돼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긴급 재난 문자처럼 단체로 알람이 울려댈 겁니다. 웹툰은 시즌 5 마지막 즈음에서 개발자만 알고 있는 ‘창’과 ‘방패’ 기능을 공개했습니다. 방패는 나의 좋아하는 마음을 숨길 수 있는 기능이고, 창은 좋아하지 않는 사람의 알람을 울릴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런 기술은 센서 네트워크 상의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교육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우주, 물질, 생명, 인류, 문명, 환경을 다루는 교과목을 개발하고, 실제 강좌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추정된 사실을 동요시키고, 익숙한 것을 낯설게 만들며, 현상의 배후에서 일어나는 것들을 폭로하고, 젊은이들의 방향감각을 혼란시켜, 그들이 다시 방향을 잡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말부터 응용물리연구소에서 일하면서 미국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위성항법시스템(NNSS)의 개발 책임자로 일했습니다. 커쉬너 박사는 본인이 찾은 3가지까지 합쳐서 총 8가지가 볼록오각형으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의 전부라고 주장하며 이를 정리로 만들었습니다. 그 증명은 다 쓰자면 책 한 ... ...
이전281282283284285286287288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