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특별히 보호해야 하는 고객과 자주 변하는 운영 경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기술을
개발
하다 보면 물류 분야에서 사업을 확장할 기회가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학과 통찰력이 섞인 셔틀타요는 구체적이면서도 큰 미래를 그리고 있었다 ... ...
[핫이슈] 내가 진짜 최강! 드론 레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디자인해서 더 특별하다”고 말했어요.현성 친구는 앞으로 로봇이나 드론을 직접
개발
하는게 꿈이에요. 언젠가 현성 친구가 만든 로봇을 만날 수 있길 기대합니다!드론 개조를 꿈꿔요!두 번째로 성공한 드론 레이서는 이지호(김포 청수초 5) 친구예요. 1분 18초 만에 모든 미션을 수행했지요. 지호 ... ...
[과학뉴스] 발암물질 석면, 안전하게 폐기 가능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점이다. 해외 연구진이 섭씨 15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석면을 녹여 유해성을 없애는 기술을
개발
했지만 처리 비용이 만만치 않다. 연구팀은 1500도보다 훨씬 낮은 100도 이하에서 1~2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면 석면의 구조를 변형시켜 유해성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섬유형태의 석면이 ... ...
[과학뉴스] 전통 한지로 ‘종이 전극’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공동으로 전통 한지를 이용해 유연하게 휘어지면서도 출력이 높은 슈퍼 커패시터를
개발
하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9월 14일자에 게재했다. 그간 표면적이 넓으면서 가볍고 유연한 직물 소재는 웨어러블 기기에 적합한 슈퍼 커패시터 기판으로 주목받아왔다. 하지만 금속보다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부드럽고 신축성 있는 소재의 모양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
해 왔다”며 “이번에
개발
한 신소재는 모양을 빠르고 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3일자에 실렸다.doi:10.1126/science.aan562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지진 모멘트(seismic moment)’를 측정해 지진 규모를 계산하는 ‘모멘트 규모(MW)’가
개발
됐다. 모멘트 규모는 지진 규모의 포화는 발생하지 않지만, 규모 3.5이하의 작은 지진은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유3 : 美 관측소 1000여 개, 韓은 수십 개 결국 어떤 계산법을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벗어난 물질이 탄생할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혁신적인 나노복합소재를
개발
하려면 나노소재 특유의 강점을 이끌어내는 제조 공정이 필요하다. 더불어 나노복합재료의 방탄 특성을 정확히 분석할 새로운 실험방법도 절실히 요구된다. 이런 노력 중의 하나로 필자는 레이저를 이용해 실제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고 있다. 이는 거대한 해양 운송체나 새로운 수중 무기를
개발
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슈퍼 히어로의 무기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계산할 수 있다. 결국 프랑크 교수는 1980년대 초 2차원 이미지를 분류하는 알고리듬을
개발
하는 데 성공했다. 또 여러 방향의 2차원 이미지를 모아 3차원 구조를 모델링 하는 방법도 1980년대 중반에 완성했다. 저온 동결법 등장 자크 뒤보셰 교수는 1970년대 후반부터 독일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추적하고 있는 이성종 한국연구재단 국책기술전략팀장은 “페니실린이나 파란색 LED
개발
같은, 오래된 난제를 갑자기 해결해 수상한 경우는 아주 예외적”이라며 “노벨상 수상자들의 공통된 특징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전 생애에 걸쳐 특정 학술지에 실린 우수한 업적이 누적된, 소위 한 분야의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