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왼쪽에 있는 사진을 보세요. 이 로봇은 우리나라의 로봇제작 기업인 한국미래기술이 개발한 ‘메소드-2’라는 거대로봇입니다. 마치 영화 아바타나 매트릭스에 등장하는 2족 보행 로봇과 정말 비슷하지 않나요? 실제로 사람이 조종석에 타서 조종간을 움직이면 130kg이나 되는 로봇팔이 사람의 동작을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연구팀은 폭발물의 주성분인 TNT와 반응해서 적외선을 내뿜는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개발했어요. 그 다음, 이를 시금치의 잎사귀에 발랐답니다. 시금치 뿌리가 TNT가 섞인 물을 잎사귀로 전달할 거라고 생각한 거죠. 또한 연구팀은 시금치 잎에서 적외선이 나오면 스마트폰에 알림을 보내는 ... ...
- [과학뉴스]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실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교수팀은 늘었다 줄거나, 회전할 때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실을 개발해 ‘사이언스’ 8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꼬아 코일 형태의 ‘트위스트론’ 실을 만들었다. 이 실은 지름이 60~70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로 머리카락보다 얇다. ... ...
- [과학뉴스] 제주도 바닷가 신종미생물에서 항생제 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배양조건도 찾아냈다. 이를 토대로 향후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최혁재 교수는 “프로지디오신은 제약시장에서 고가로 거래 되고 있다”며 “국내에서 발견한 신종 해양미생물에서 가치가 높은 항생제 물질을 찾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doi:10.1099 ... ...
- [Origin] 아스팔트 화산, 진흙 화산 들어는 봤나 ‘석유 화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례가 있다. 그보다는 작은 규모지만 올해 3월 경북 포항시 대잠동 지역에서도 지하수를 개발하기 위해 시추하던 중 가스가 유출되면서 폭발했다. 인부 2명이 부상을 당했고 지금도 불이 붙어 있다(위 사진). 해저에서도 가스 분화구와 유사한 구조가 발견된다. 가스가 분출된 이후 해저 지층이 ... ...
- [Career] ‘밀당 로봇’으로 맞춤형 운동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람의 근기능을 측정해 과학적으로 운동하도록 돕는 로봇을 개발할 겁니다. 이를 활용해 우리가 아직 모르는 인체의 신비를 밝히는 게 목표입니다 ... 밝힐 수 있을 것”이라며 “훗날 이를 활용해 더 자연스럽게 걷는 휴머노이드를 개발하는 등 로봇공학에 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더 안정해진다. SBC는 스티렌(C8H8)과 부타디엔(C4H6)의 합성물질로, 천연고무를 대체하려고 개발된 합성고무다. 식약처는 “SBC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관(IARC)이 지정한 그룹3(인체 발암물질로 분류할 수 없음)에 해당하는 물질이며, 미국에서는 식품첨가물로도 사용되고 있다”고 ... ...
- [Career] 마음먹은 대로 전기 제어하는 마법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개발 중이다. 원하는 주파수에서 인덕션 전기레인지의 코일에 고전압을 흘리는 기술을 개발해 어떤 재질의 냄비도 안전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 대부분의 전기를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할 미래에는 전력 제어 기술이 더욱 중요하다. 정 교수는 “태양광 처럼 시간에 따라 발전량이 다를 ... ...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국내 해안 지역의 방파제 및 연안 시설물 등 안전 시설은 홍수 피해에 취약하다. 세계개발센터(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환경과에너지팀은 2009년 동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 84개국의 해안 지역이 해일에 얼마나 취약한지 조사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해안 중 61%가 해일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미 프랑스의 로레알과 스위스의 네슬레는 피부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을 공동 개발한 바 있다. 화장품과 약, 식품의 경계는 이미 허물어졌고,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추남의 계절 ‘오빠 피부’를 탐하다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 ...
이전287288289290291292293294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