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4. 익룡은 네 발로 걸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발로만 걸었다는 것이 아니라 앞발 위주로 걸어 뒷발자국 화석이 남지 않은 것이다(66쪽
그림
참조).익룡은 걷기 위해 대부분의 체중을 앞발에 실을 수 밖에 없다. 먼저 날개를 접어 위로 세운다. 날개 중간에 달린 앞발은 땅을 짚는다. 앞으로 가려면 날개를 펴서 망토를 휘두르듯이 앞으로 휙 돌리며 ... ...
나노 눈으로 세상을 보는 탐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많아 깊게 생각하기 어려운 것 같다”며“그렇다고 책을 많이 읽으라는 것이 아니라
그림
을 보든 TV를 보든 좀 더 깊이 생각하는 버릇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셨어요. 무엇이든 남의 생각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고 스스로 생각해 보라는 것이죠.언제나 새로운 모험을 즐기는 박사님처럼 ... ...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문제 역시 관찰력에 관한 문제다. 사람과
그림
자의 특징을 잘 살펴보자. 5번 사람의
그림
자가 없다. 달아난 여섯 명의 과학자썰렁 홈즈와‘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의 맹활약으로 검은 조직‘까마케롬다만드러’의 정체가 모두 밝혀졌다. 과학의 힘으로 세상을 정복하려는 나쁜 생각을 하고 있던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원이 미끄러지지 않고 굴러갈 때, 구르는 원의 원주 위의 한 점이 그리는 성형(星形) 곡선[
그림
]사방기둥모양 결정, 뜨거운 물에 녹지만 알코올,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백합과 식물인 아스파라가스(Asparagus officinalis)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가수분해하면 아스파르트산이 ... ...
더해도 똑같은 직사각형의 마술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트릭보다는 수학적인 원리를 이용한 것이어서 특히 흥미로웠다.미스터 마릭은 문제의
그림
에서 왼쪽과 같은 직사각형을 만든 다음 딱 맞게 구멍이 뚫린 틀을 끼워 보였다. 그 다음 9번 조각을 집어넣고 다시 그 틀을 끼워서 똑같은 직사각형임을 확인시키고, 10번 조각을 또 집어넣고 다시 한번 틀을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글씨, 한반도 지도 등 다양한 2차원
그림
도 모두 100nm 수준의 정밀도로 제작했다. 이런
그림
을 그리는 공정을 ‘나노 복화(復畵)’ 기술이라고 부른다.양 교수는 “현재 80nm를 최소 단위로 하는 정밀한 형상 제작이 가능하다”며 “앞으로 50nm급 정밀도로 최대 500μm 크기의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연구 ... ...
X선이 되살린 아르키메데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지은 수학책의 10세기 필사본이지만 중세와 현대를 거치며 그 위에 다른 글과
그림
이 덧입혀져 아르키메데스에 대한 내용을 알아볼 수 없었다.미국 원형가속기방사광연구소 과학자들은 이 책에 X선을 쏴 아르키메세스를 다룬 부분을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10세기 잉크에는 철 입자가 있어 X선을 ... ...
인터넷 종량제 논란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온라인 공간에는 종량제 실시 후 웹 환경을 패러디한 게시물이 활발하게 올라오고 있다.
그림
이나 플래시가 빠지고 글자로만 된 배너광고 사례와 ‘텍스트 기반 커뮤니티’‘패킷 다단계 절약방법’ ‘EBS 수능 동영상 방송 중단’ 등 종량제 실시가 가져올 여파를 비꼬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패킷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영향을 미치는 것도 채도와 대비가 불러일으키는 색감이다.사진의 색감에 대한 반응은
그림
을 볼 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 유사한 색이 많을 경우 전체적인 톤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보색이 섞여있는 경우 역동성을 강조할 수 있다. 신 박사는 “특히 노란색과 빨간색 같은 장파장 색상은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방법에 한해서만 연구가 진행돼왔다.뇌의 각 영역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구분해 놓은
그림
을 ‘뇌지도’라고 한다. 미지의 대륙, 뇌를 탐구하는 여정에서 뇌지도는 가장 근간이 되는 방법 중 하나다. 필자의 연구팀은 최근 물리학을 뇌지도 연구에 응용하는 방법을 개발해 물리학계 권위지인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