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뉴턴의 프리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기록한 사람은 프랑스의 르네 데카르트였다. 그는 무지개를 연구하면서 자신의 실험을
그림
으로 남겼는데, 이 실험에서 프리즘을 통과한 햇빛이 구멍을 지나 벽에 비치도록 했다. 데카르트는 붉은색과 보라색이 항상 같은 위치에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프리즘에 비친 햇빛과 프리즘을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때문에 위조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비자는 새
그림
, 마스터스카드는 세계지도
그림
이 홀로그래피로 새겨져 있다.알버트는 집에 돌아와 컴퓨터를 켰다. 그가 마지막으로 “고마워, 아인슈타인”이라고 외칠 순간이다. 날마다 쓰는 전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쓰이는 전기의 약 40%는 ... ...
썰렁 홈즈 마술사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2호
생각한 수를 뺀 수 : X+3-X=3★처음의 수인 X값과 관계없이 항상 3이 나온다.네 번째 마술
그림
처럼 4개의 성냥개비를 움직이면 큰 정사각형 하나와 작은 2개의 정삼각형이 만들어진다 ... ...
도나카와 안스네가 남긴 유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따라 가면서 열쇠 꾸러미를 찾고 다시 보물 상자 쪽으로 가야 한다. 정답은 오른쪽
그림
과 같다.4. 정답10개의 열쇠를 자세히 보라! 정답은 4번 열쇠이다. 도나카와 안스네의 보물썰렁 홈즈는 여러 문제를 해결해서 결국 보물 상자를 열었다. 그런데 웬일? 보물 상자 안에는 금괴 는 커녕 달랑 사진 ... ...
별박사 이태형 별따기 셋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33년 주기로 지구에 접근한다. 그래서 33년마다 큰 비처럼 별똥별들이 떨어지게 된다.
그림
은 2001년 11월 18일 저녁부터 19일 새벽까지 시간당 8,000개의 별똥별이 떨어지는 모습이다. 별똥별이란 무엇인가?별똥별(유성)은 태양이나 별과 같은 천체가 아닙니다. 별똥별은 우주 공간을 떠다니는 ... ...
“과학으로 삼진을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과학이 숨어 있어요. 투수가 던진 공이 공기속을 뚫고 나아갈 때는 그 주위에 아래의
그림
과 같이 일정한 공기의 흐름이 만들어집니다.투수가 공에 회전을 많이 주면 공의 윗부분은 공기 흐름이 빨라지고 아래쪽은 느려짐으로써 공을 아래에서 위로 밀어 올리는 양력이 생기게 된답니다. 공은 ... ...
그림
을 훔친 범인은 누구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정원사 짜르나무 또짜르스키였다. 평소 주인에 대한 감정 좋지 않았던 정원사는 일부러
그림
을 훔쳐서 골탕을 먹이려 한 것이다. 또한 썰렁 탐정의 능력을 시험해 보고 싶어서 자신의 모습을 범인의 모습으로 슬쩍 단서를 던진 것 이었다. 앞의 단서3에서 정원사의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라 ... ...
나도 이젠 애니메이션 감독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처음에 하나의 틈으로 하나의
그림
을 보고 다음 틈으로 다음
그림
을 볼 때까지 처음
그림
의 잔상을 제거할 시간적 여유가 생긴다.▶▶▶ 왜 교차점에 점이 보이는 걸까?우리 눈의 망막에는 간상세포와 원추세포가 있다. 간상세포는 약한 빛에 민감해 어두운 곳에서 명암을 인지해낸다. 원추세포는 ... ...
쌍둥이 도형 만드는 렙타일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는 원래 도형인 A4와 닮은 도형이다. A4는 렙-2 도형인 것이다.6개의 정삼각형을 모아 옆
그림
과 같이 만든 도형은 스핑크스로 불린다. 이 도형을 똑같은 크기의 스핑크스 4개로 분할할 수 있을까? 즉 스핑크스는 과연 렙-4 도형일까? A렙타일 도형을 분할하는 문제는 상당히 기교적인 경우가 많기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긋게 하지만 3차원 공간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누구나 쉽게 그릴 것 같은 간단한
그림
도 뇌량을 통해 좌뇌와 우뇌가 정보를 교환하고 종합해야만 얻을 수 있는 것이다.우연히 선택된 비대칭자동차는 도로의 오른편에서 달린다. 오른손잡이에게는 우측통행이 자연스러워서일까. 그러나 자동차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