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영상에서 미흡한 부분은 미분방정식 항의 상수나 변수를 바꿔가면서 개선하면 된다. 즉
그림
을 다시 그리거나 그래픽에서 수정작업을 하는 대신 자판기의 숫자버튼만 몇개 눌러주면 되는 것이다.“최근 들어 이런 기법이 실제 애니메이션 제작에 쓰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영화 ‘슈렉’ 에 나오는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조상인 동굴 사자는 1만5천년전에 멸종했다. 유라시아 대륙에서 크로마뇽인이 그린 동굴
그림
에는 동굴 사자의 모습을 흔히 찾아볼 수 있어 우리의 조상과 친숙한 존재다. 현재 사자보다 25% 더 크며 사자보다 오히려 호랑이와 많이 닮았다. 이것처럼 전체적으로 잘 보존된 것은 세계에서 4마리밖에 ... ...
물 속에 빛을 가둬라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물까지 도달할 수 있어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우리가 수조 위쪽에서 컵을 관찰해도
그림
을 볼수있는 이유다.전반사는 빛이 물에서 공기처럼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전달될 때 발생한다.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광섬유는 전반사를 응용해 빛이 섬유 속에서만 전달되게 한 대표적 예다.▶▶▶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세포막과 관련 단백질은 녹색으로, 마지막으로 혈액은 갈색과 노란색으로 표현됐다. 이
그림
은 미 라호야에 위치한 스크립스 연구소 내 통합 분자 생물학 센터의 입구를 꾸미기 위해 제작된 것이다.일러스트레이션부문 1등 3차원 파일 관리아담 미에지안코·크리스토퍼 람비시·카렌 펑·자브누라 ... ...
마당과 대청마루에도 생태학은 숨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기대서서’, 김용택의 ‘강가에서’ 같은 문학작품이나 조선시대의 옛 지도와 김홍도의
그림
등 예상치 못한 예술작품과 만나게 된다.책을 읽는 사람들은 재미는 물론 기대하지 않았던 분야의 지식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그는 “생태학이 과학 안에 머물지 않고 문학까지 포괄할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化學量論的)으로는 동종 화합물 4개의 링크(link)로 구성된 4절(節) 회전기구 4절 회전기구[
그림
]에서 D를 고정시키면 링크 A는 결합점을 중심으로 완전히 회전할 수 있는데, 이 링크를 크랭크라고 한다 육방정계(六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제올라이트의 하나이다 규소가 알루미늄으로 치환되면 칼슘이나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45m, 바람개비의 지름은 48m나 된다. 흰 풍차들이 해안을 따라 늘어선 모습은 한 폭의
그림
처럼 아름다웠다. 이곳의 전력생산용량은 10MW(메가와트)로 제주도 전체 전력의 1%를 차지한다.제주 서부 한경단지에는 이곳보다 2배나 큰 풍차 4대가 돌아가고 있다. 제주도청 김동성 사무관(미래산업과)은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미스터 칩’ ‘미스터 디지털’.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52)의 별명이다. 삼성전자 시절 세계 최초로 64메가 D램, 1백28메가 D램, 1기가 ... 무엇이든 설계해 그려 넣을 수 있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이 웨이퍼에 마음껏
그림
을 그려넣어 자신만의 새로운 반도체를 만들기를 희망한다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알세스트호 항해기에는 한국 여행을 소개하며 장죽을 물고 큰 갓을 쓴 조선 사람들의
그림
이 나오는데 외국인의 눈에는 상당히 특이하게 비친 모양이다. 예수회 신부들의 여행기는 산삼의 효능과 식별법 등을 자세하게 소개했다.옛 지도를 모으면서 나는 가능한 방법을 모두 동원했다. 거의 매년 ... ...
2. 눈의 움직임이 마음의 비밀을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때 시선은 사람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일련의 순서나 규칙은 없다. 하지만 확실한 점은
그림
중 많은 정보를 가진 부분에서 안구고정이 많이 일어난다는 사실이다. 글을 읽을 때는 좀 다른 패턴을 보인다. 아주대 심리학과 언어 및 인지과정 실험실이 안구추적기를 이용한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