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눈 모방한 액체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있어 물보다 기름과 더 친하다. 따라서 물방울은 가운데가 볼록한 형태로 존재한다(
그림
1). 이때 원통에 전기장을 걸어주면 물을 밀쳐내는 성질이 줄면서 기름의 친화도와 비슷해져 물방울이 옆으로 퍼져 납작해진다(
그림
2). 전기장이 더 강해지면 내벽이 기름보다 물과 더 친해지고 이번에는 기름이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19세기 화가 기산 김준근의 ‘가마점’이란 풍속도에 현실감 있게 표현돼 있다. 이
그림
은 용광로에서 풀무질하는 모습, 용광로에 구멍을 내고 녹은 쇳물을 도가니에 받는 모습, 거푸집에 부어 틀을 짜는 모습 등 주물제작의 전과정을 담았다. 기산의 풍속화에 담긴 주물 제작과정은 현재까지도 ... ...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롬에 이미 저장된 소리를 원래대로 재생하거나 음정의 높낮이를 조절한다애니메이션
그림
들의 특정한 한장을 1프레임(frame)이라고 한다 만화영화, 영화 등에서는 초당 30프레임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1초당 30프레임 이상이면 인간의 시각으로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변화를 느낄 수 없기 ... ...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명사를 비슷한 속도로 배우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동사를 더 빨리 배운다고 한다.83쪽 (
그림
1)에서 아래쪽에 제시된 꽃이 집단 A와 B 중 어느 쪽에 속하는지를 판단해보라. 독자 여러분은 어떤 집단을 선택했는가.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에게 이 질문을 해본 결과, 놀랍게도 다수의 한국 학생은 제시된 ... ...
소비자 마음 읽는 독심술사 뉴로마케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그 로고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가지 디자인 요소가 한데 어우러져 참가자들에게는 하나의
그림
으로 지각된 셈이다.그렇다면 명품과 대중용품 브랜드 로고를 볼 때는 과연 어떤 차이를 보일까. 명품 로고를 볼 때 참가자들의 뇌에서는 전대상이랑이 활성화됐다. 이곳은 눈에 보이는 여러 물체 중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뉴턴은 장갑을 손에 쥐고 칼까지 찬 우아한 신사의 모습으로 묘사돼있습니다. 이 정도
그림
을 넣기 위해선 책을 최고급으로 만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계산을 한 것입니다. 또 왕립학회 회장 시절에는 금으로 ‘회장 아이작 뉴턴’이라고 쓴 대형 초상화를 내걸었다고 합니다. 마치 관공서에 대통령 ... ...
쌓인 눈 넉가래질하는 "은하"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125는 또다른 은하단과 1억년 전쯤 충돌했고 지금도 두 은하단의 충돌은 끝나지 않았다.
그림
에 나타난 C153의 모습은 두 은하단이 치른 전쟁의 결과다.구체적으로 C153이 상대 은하단 외곽부의 가스와 충돌하면서 벌어지는 광경이다. 충돌 속도는 시속 7천2백만km. 충돌 과정에서 은하에 있던 가스는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대류 모델을 세 변수만을 고려해 푼 비선형동력학 방정식을 위상공간에 표시한
그림
동력학을 일반화시켜 재정립한 해밀턴(1805∼1865)은 동력학계의 상태를 위치와 운동량(질량×속도) 좌표로 나타냈다 해밀터니언계는 동력학에서 전체 에너지를 정의하는데 매우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다단위 시간당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저도 종교에 대해 몇마디만 하고 본론으로 가겠습니다. 예정에 없던 거라
그림
이 미처 준비 안됐으니 칠판에 그려보기로 하죠.칠판 쪽으로 간 굴드는 동그라미 두개를 그리기 시작한다.종교는 정신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치료하고 제거해야 한다는 도킨스 교수의 생각에는 종교에 대한 그의 무지가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그림
에서처럼 하늘색의 밝기가 정확했고, 하늘색과 흰 배경간의 밝기차이가 피카소의
그림
에서처럼 작았기 때문이다.예술과 과학. 별로 관계가 없어 보이는 두 분야지만, 과학의 발전으로 이 두 분야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예술속에도 엄연히 과학적 진실이 숨쉬고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