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이름붙였다. 가디너는 두음법칙을 기초로 해 원-시나이어를 판독했다. 두음법칙은
그림
문자에 대한 셈족어 발음의 첫 자음을 그 글자의 발음으로 하는 체계다. 예를 들어 황소 머리를 그려놓고 황소를 의미하는 셈족어 발음인 알렙(’alep)에서 첫 자음인’를 따서 읽는다. 또 집을 그려놓고 집을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수도 있다. 근거리통신기능도 있어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서 버튼을 누르면 같은
그림
을 가진 사용자의 픽스가 불을 밝히게 된다. ‘발랄한’ 아이디어를 추구하는 공학도와 디자이너가 만나 개발했다.www.xenofreaks.com, www.ilovepix.com컴퓨터가 손목으로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마이크로 PDA로 ... ...
2 동백 고향을 떠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있으나 평균기온이 2℃ 상승한다면 중부지방을 거의 다 덮을 것으로 예상된다(139쪽
그림
). 원래 분포했던 남서해안에서는 기온이 너무 높아 아예 자라지 못하게 될 것이다.그러나 나무가 서식지를 북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나무는 수만년 이상 그 생태계에서 적응해 왔기 때문에 ... ...
대못안경에서 다초점렌즈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현재 이탈리아의 성 니콜라 사원에 소장돼 있다. 이
그림
에 그려져 있는 안경은 일명 대못안경. 나무나 동물의 뼈로 만든 안경테에, 수정이나 유리로 만든 둥근 렌즈를 끼워 넣은 단안경 두개를 대못으로 연결했다.15세기경에는 두개의 단안경을 연결시키고 안경코를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나타낸다 그밖에 여러 부수적인 투영부에 의해 천구의 좌표계와 자오선, 별자리의
그림
과 이름, 세차운동, 연주운동 등을 나타낸다리보핵산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바이러스의 구조는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전달하는 핵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중심부와 이것을 싸고 있는 단백외각(capsid), 그리고 몇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신비를 벗길 수 있는 두가지 열쇠를 손에 쥐고 있기 때문이다.대전입자가 그리는 한폭의
그림
북반구에서는 오로라를 북극광이, 남반구에서는 남극광이라고 부른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오로라는 무언가가 빛을 내는 현상이다. 그 주인공은 바로 태양으로부터 쏟아져 나오는 전기를 띤 입자들.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또한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대부분의 사상가들도 생물의 변화를 진보와 동일시했구요(
그림
1). 굴드(G팀): 동의합니다. 빅토리아 시대에 영향력 있는 사상가이기도 했던 스펜서는 다윈이 고심 끝에 쓴 ‘수정이 가해진 상속’이라는 용어를 ‘펼침’의 뜻이 담겨있는 ‘진화’라는 용어로 대체한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방송을 작은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외에도 각종 문자
그림
정보의 수신이 가능해 날씨·교통 정보 서비스에 적합하다.DMB는 지상파와 위성방식으로 나뉘어 추진 중에 있는데 특히 휴대폰과 결합할 가능성이 높은 쪽은 위성 DMB부분이다. 위성 DMB는 지상파와 달리 넓은 지역을 ... ...
철가루 훈련대장 자석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자석의 자기장에 의해 철 원자가 규칙적으로 재배열되면서 일시적으로 자석이 된다(
그림
). 이 현상을 자기유도라고 한다.어드벤처 2 핀으로 만든 자기장 탐지기자석 주위에는 자기장이 형성돼 있다. 따라서 자석 주위에 철가루를 뿌리면 철가루가 자석의 성질을 띠어 자기장의 모양에 따라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있다.한편 중국에서도 이 성단을 보았던 기록이 남아 있다. 기원전 2357년에 황도를 그린
그림
에서 이 성단이 나타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성단을 눈여겨봤으며 좀생이별이라고 불렀다.하지만 이 성단에 대한 천문학적인 관심은 그리 크지 않았다. 근대에 와서 이 성단에 대한 관측 기록을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