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3. 기네스 기록 도전하는 LHC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요구했다. 현재 세계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절연케이블이 사용된 데도 LHC가 일조한
셈
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입자들의 지상 최대 쇼쇼쇼 INTRO 지상 최대 '입자 쇼' 개막 1. 축제로 들뜬 CERN의 사람들 2. '신의 입자'를 찾아서 2. 내 짝은 초대칭 입자 2.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2. 세상에서 가장 ... ...
밤하늘에 흐르는 '용이 노니는 냇물' 은하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티끌보다 작은 행성인 지구에서 우리는 밤하늘에 투영된 별들의 거대한 장막을 보는
셈
이다.지름이 10만 광년에 이르는 우리은하의 전체 모습을 볼 순 없지만, 은하수를 보며 광활한 우주를 상상하는 일은 그야말로 황홀한 경험이다. 특히 여름철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궁수자리 부근 은하수는 ... ...
에너지 위기 해양조류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빼면 전부 기름일 정도”라고 말했다. 미세조류는 바이오디젤의 원료가 될 수 있는
셈
이다. 연구단은 동해나 서해, 남해, 남태평양에서 채집해 온 미세조류 수 천 종 중 지질함량이 50% 이상인 미세조류를 찾고 있다.그러나 원료가 풍부하다고해서 무조건 바이오 연료 생산량이 많은 건 아니다. ... ...
클릭 한 번으로 펼쳐지는 '상상 그 이상의 설계'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고치며 완성하는 방식이라면 자동설계는 백지에 그리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그리는
셈
”이라고 설명했다.고정된 틀이 없다고 해서 황당무계하거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설계도가 나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소음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는 흡음재 대부분은 현재 삼각뿔 모양이다. 연구팀은 ... ...
다이아몬드 자태 빛나게 한 백금 세팅 기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퇴색하는 게 문제. 금빛보다 은빛이 어울리는 디자인의 액세서리로서는 치명적인 약점인
셈
이다.1898년 까르띠에는 백금(플라티늄)을 세팅에 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강도가 높고 밝은 금속인 백금은 녹는점이 1772℃로 금(1064℃)이나 은(962℃)보다 훨씬 높아 가공하기가 어려워 산소용접이 ... ...
할리데이비슨의 3대 매력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힘차게 흔들린다. 강 과장은 “라이더가 즐겁게 탈 수 있도록 일부러 진동을 남겨놓는
셈
”이라며 “러버 마운트가 간접 진동을 줘서 라이더는 말 타는 느낌을 받는다”고 말했다. 첨단 디지털 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에게 말을 타고 달리는 것 같은 원초적인 즐거움과 바람을 가르는 주행의 기쁨을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부산물로 만든 사료를 먹을 수 있다”며 “결국 소가 소를 먹는 위험은 여전히 존재하는
셈
”이라고 말했다. 인간광우병(vCJD)은 CJD와 어떻게 다른가?변형 프리온이 인간에게 일으킨 질병이 뇌에 구멍이 뚫려 사망하는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이다. CJD에는 ‘변종 CJD’(vCJD)를 포함해 4종류가 있다. ...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와인을 소재로 한 만화 ‘신의 물방울’의 작가 아기 다다시 는, 1964년 1000만 원에 낙찰돼 세간의 관심을 모은 와인 샤또 마고를 클레오파트라에 비유했다. 그는 “‘샤또 마 ...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그대로 작물에게 넘겨준다. 토양은 모든 식물의 ‘안식처’이자 ‘충전소’인
셈
이다 ... ...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비롯한 한일 공동연구는 세계에서 가장 큰 망원경(VLBI)으로 가는 밑거름인
셈
이다.활동성 은하핵*초대형 블랙홀로 대량의 물질이 유입되면서 보통 은하핵보다 강한 빛과 제트(빠른 속도의 물질 분출)를 방출하는 은하핵. 보통 은하핵보다 수백만 배 이상 강한 전파를 낸다 ... ...
산불로 생긴 숯, 온실가스의 숨은 주범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때문에 수천 년 동안 흙속에 남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탄소 저장체 역할을 하는
셈
.스웨덴농업과학대 숲생태학과 다비트 바들레 박사팀은 숲속의 부식토와, 부식토와 숯을 반씩 섞은 흙을 10년간 방치한 뒤 탄소의 함량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일반 부식토보다 숯이 섞여 있는 부식토에서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