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수도 있다. 이런 우려가 현실화된 것이 바로 소에게 광우병을 일으키는 변형 프리온인
셈
이다.변형 프리온은 정상 프리온을 자신과 같은 구조의 변형 프리온으로 바꾸는 ‘드라큘라’ 단백질이다. 따라서 소의 변형 프리온을 만난 인간의 정상 프리온은 소의 변형 프리온처럼 변한다. MM형은 ... ...
스무 살 성인 된 V3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젊은이의 가치관이 무너지면 한국의 미래는 없다는 위기감이 그를 강단에 서도록 한
셈
이다.그는 문과와 이과가 인위적으로 나뉜 한국의 교육 제도에도 일침을 가했다. 그가 학생 신분으로 외국 대학에 다니며 가장 부러웠던 점 중 하나는 공대가 대학의 허브 역할을 한다는 것. 반면 국내에서는 ... ...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예측하고 있다. IPCC 보고서의 ‘해상도’를 높여 한반도 근해를 ‘선명하게’ 보는
셈
. 지난 2년 동안 해양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년 뒤 한반도 근해의 수온이 3℃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김 박사는 “북태평양 중에서도 우리 나라 주변 바다의 수온 상승이 큰 편”이라고 전했다. 서해와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일컫는 호암상을 수상했다. 뇌혈관분야라는 한 우물을 20년 동안 판 덕분에 거둔 쾌거인
셈
이다. Interview 김규원 교수통합적 사고가 아이디어 원천김 교수는 통합적 사고력을 강조한다. 특히 혈관·신경계 통합조절 연구단을 이끌면서 혈관과 신경을 통합적으로 조망한다. 간단히 말해 혈관 없이 ... ...
피부에서 산소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조금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즉 피부가 몸 속의 산소 농도를 조절한다는 사실이 증명된
셈
이다.존슨 교수는 “기존 운동선수들은 몸 속의 산소 농도를 높이기 위해 몸에 적혈구를 추가로 주입하거나 인공적으로 합성된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주입하는 방법을 이용해 왔다”며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 ...
3. 고품질 바이오석유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것처럼, 지금은 바이오연료라는 거대한 석유대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달려가고 있는
셈
이다.이러한 바이오연료 생산 기술은 정유산업에서 공급하는 석유화학제품의 원료를 대체하는 물질을 만드는 데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생산기술을 바이오정유(biorefinery)라고 한다. 세계적인 석유화학 ... ...
친환경으로 변신한 LED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 분위기를 결정하는 것이 조명이다. 간판이 매장의 얼굴이라면 조명은 매장의 표정인
셈
.숍랩의 문을 열고 들어가면 마치 백화점의 고급 매장에 온 듯 착각에 빠진다. 제일 먼저 입구의 쇼윈도가 눈에 들어온다. 숍랩의 쇼윈도는 일반 유리가 아니라 터치스크린형 디스플레이다. 쇼윈도에 ... ...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수 있습니다.” 즉 세포분열 신호를 전달하는 과산화수소가 암세포를 자살로 이끄는
셈
이다.1998년 논문의 저자가 모두 한국인이라는 점도 특이하다. 박사후연구원이나 안식년을 보내려 NIH에 와있던 연구자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기 때문. 당시 공동 제1저자였던 전남대 이성록 교수, 생명공학연구원 ... ...
지구 3차원 영상지도 전쟁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나아가 이를 이용해 정보 검색이나 상품 판매 같은 핵심 비즈니스영역을 강화하려는 속
셈
이 있다.지도의 가치를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한 개념이 바로 ‘정보의 공간화’다. 정보의 공간화는 현실의 모든 정보에 위치 정보를 붙여 관리하는 개념이다.예를 들어 인터넷 검색어로 ‘중국집’을 ... ...
숭례문 무너진 자존심 금강소나무가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역사적 사례를 되새겨보면 삼척 준경묘의 소나무를 숭례문 복원에 사용할 여지는 있는
셈
이다. 문제는 준경묘의 아름다운 경관도 살리면서 숭례문 복원에 필요한 대형 목재도 적절하게 충당할 수 있는 지혜라고 할 수 있다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