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떼 놓으려 해도 잘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암놈을 강하게 끌어안는다.홍어의 수놈은
결국
이런 습성 때문에 종종 애꿎은 목숨을 잃곤 한다. 번식기를 맞아 짝을 찾느라 혈안이 된 수놈은 그물이나 낚싯바늘에 걸려 꼼짝도 못하고 있는 암놈을 만나면 앞뒤 가리지 않고 달려든다. 그러나 암놈을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결과 미생물은 세포벽이 부실해져 죽는다. 페니실린이 항생제로 작용하는 이유다.
결국
L-아미노산의 펩티드 결합을 끊는 효소를 피하기 위해 미생물이 진화시킨 D-아미노산 세포벽 전략에 대한 대응책이 페니실린이다. 생명체의 진화는 물고 물리는 치열한 전략게임인 셈이다. 신호 전달하거나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에디슨은 백열전구를 개발하는 동안 발전기 연구를 계속했고, 전기 계량기 개발에도
결국
성공했다. 그가 개발한 기기들 덕분에 백열전구는 좀 더 빨리, 그리고 자연스럽게 일상생활에 녹아들 수 있었다.백열전구를 이용한 완벽한 조명 시스템이 첫선을 보인 곳은 뉴욕 금융가 펄스트리트255~25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분자를 녹인 용액에 금으로 된 전극을 넣으면 사슬의 끝이 금 표면에 찰싹 달라붙는다.
결국
금 표면에 고리분자가 촘촘히 박혀 마치 모내기 철 논에서 볼 수 있는 모판과 같은 형상이 된다. 분자들이 스스로 모여(자기조립) 분자 하나 두께로 금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이를‘단분자막’이라고 부른다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시간이 지나 혈액 시료를 채취해 분석해보면 거의 1:1로 (+)와 (-)가 공존하고 있다는 것.
결국
탈리도마이드 같은 약물의 경우 거울상 분자를 없애는 게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임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무조건 피해야 한다.이 밖에도 약물의 거울상 분자가 다른 약효를 보이거나 부작용이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외벽에 작고 동그란 구멍을 뚫어 거대한 교보타워가 조각으로 나뉘어 보이도록 했다.
결국
지름 1050mm의 원형 구멍3371개를 벽면 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했다. 구멍을 뚫는 덕분에 무거운 콘크리트 벽체를 쌓아 올리는 부담도 줄었다. 마치 다공질의 스펀지처럼 곳곳이 비어 벽체가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엔진의 추력으로 전진하면 배가 앞으로 나아가면서 배 앞부분이 얼음 위로 올라간다.
결국
7487t에 이르는 아라온 호의 무게로 얼음을 짓눌러 부수는 것. 남 실장은 “아라온 호는 최고 속도가 16노트(시속 약 30km)에 이르며 두께가 1m인 얼음을 부수면서 3노트(시속 약 5.5km)로 항해할 수 있다”고 ... ...
다윈을 따라 제2의 닻 올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했어요.”그 뒤로 권 박사와 지 선장 사이에 몇 차례 전화 통화와 e메일이 오갔고
결국
‘재도전’하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 지선장의 합류로 잠시 표류하던 탐사는 다시 활력을 찾았다.지 선장과 함께 태평양 항해 경험이 있는 베테랑 선원 권상수 씨도 참여 의사를 밝혀 왔다. 권 씨 역시 모시던 ... ...
1. 신기한 논리의 세계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문장은 진실이되어야 한다. 뒷면의 문장이 진실이려면 앞면의 문장이 거짓이어야 한다.
결국
앞면의 문장이 참이라는 가정과 모순을 이룬다. 앞면의 문장이 처음부터 거짓이라면, 뒷면의 문장은 거짓이 되고 그러면 다시 앞면의 문장이 참이어야 한다. 이 또한 모순이다. 크레타인의 역설은 역설이 ... ...
수학을 파는 자동판매기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있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기준은 경제적인 합리성에 따라 경제원칙을 지키는 것이겠죠.
결국
해결책은 소비자가 넣은 금액에 해당하는 만큼 원하는 물건이 나오는 것입니다.이기송 박사는 1991년 KB국민은행연구소에 입사한 뒤 현재 금융교육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지난해 MBC ‘뽀뽀뽀 아이조아’에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