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다윈의 흔적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왔어요. 푸에르토리코에서 배가 고장 나 한 달 넘게 발이 묶여 있던 권영인 박사님은
결국
배를 포기하고 자동차를 이용해 탐사를 계속하기로 결심했다고 해요. 앞으로는 답사기 형식으로 탐사한 내용을 보내 주신다고 하니 기대해 주세요~. 다윈을 찾아 떠나는 도심여행2009년 4월, 브라질의 ... ...
용궁 긴급회의 바다의 사막화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심각한 바다 오염을 일으키고 있지요. 앞으로 바다오염을 줄이지 않는다면 바다는
결국
정화능력을 잃고 말 것입니다.자연을 보전하는 것만이 바다 생물과 사람이 함께 긴 태평성대를 누리는 길이라는 걸 모두 알아야 할 터인데…. 안 되겠구려! 이번 일을 계기로 생활 속에서 바다를 지킬 수 있는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B로 암호화한 것이다.일본의 퍼플 암호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의 암호는 눈부시게 발전했고
결국
일본은 최고난도의 암호기계인 퍼플을 만들었다. 기계의 몸체가 보라색이라 이름 붙여진 퍼플은 그 어떤 암호기계보다도 성능이 뛰어났다. 그러나 미국의 암호전문가가 퍼플의 모조품을 제작하고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커지지만, 만유인력은 두 물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아지게 되어 있습니다.
결국
‘존경의 법칙’은 ‘만유인력의 법칙’을 완벽히 패러디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래도 사람의 심리를 이렇게 수학 공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니 신기하네요.지구와 달의 인력 중심은?첫 번째 질문 - 포탄을 ... ...
아름다운 무한반복 프랙탈 아트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변화시킨다. 이미지는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하는 힘에 따라 끊임없이 달라진다.
결국
작가의 오늘 기분이 어떤지에 따라 그의 작품은 무한하게 변신하는 셈이다.가을 부르는 프랙탈의 손짓단순함이 반복해 복잡함을 이루는 아름다움, 프랙탈 아트. 우리 주변에 있는 자연과 닮았다. 비가 ... ...
세계적 여자 육상선수 세메냐,
결국
남자?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목소리, 수염이 난 듯 거뭇한 턱. 세메냐의 겉모습은 여자라기보다는 남자에 더 가까웠다.
결국
그녀는 뛰어난 운동 실력과 특이한 외모 때문에 10년 전 비인간적이라는 이유로 폐지된 성판별 검사를 받아야 했다. 검사 결과, 그녀는 남성의 생식샘을 가진 불완전한 여성임이 밝혀졌다. 그녀에게 ... ...
미세한 텅스텐 바늘로 표면 훑어 원자 단위로 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 있다. 원자 알갱이 하나하나에 바늘을 갖다 대 에너지(일함수)를 알아내는 격이다.
결국
표면의 일부분만을 분석하는 XPS와 달리 전체를 분석할 수 있다.초진공 켈빈프로브 현미경 시스템은 표면을 이루는 모든 원자의 일함수를 알아낸 뒤 한눈에 파악하도록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2차원 ... ...
Part 2. 암호는 즐거운 두뇌싸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대답이라면 ‘NEVER’가 가장 들어맞는다는 거지.이런 식으로 암호를 풀어 나간 홈즈는
결국
첫 번째 암호에서 범인의 이름을 알아내 사건을 해결했어. 여기서 암호의 뜻을 모두 알려 주지는 않을 거야. 정답을 알고보면 이야기가 재미 없어지거든. 궁금한 친구들은 직접 소설을 읽어 보도록 해 ... ...
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매듭구조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세포 차원에선 노화와 암은 동전의 양면텔로미어도
결국
염기서열로 이뤄진 DNA이므로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복제되는 길이가 점점 줄어든다면 언젠가는 텔로미어가 모두 사라져 DNA 유전정보도 손실되진 않을까. 과학자들은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지는 현상을 ... ...
방금 따른 맥주가 맛있는 이유, 탄산 ‘맛’ 때문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입 안에 있는 촉각도 자극한다”고 설명했다. ‘혀끝을 톡 쏘는 느낌’이 바로 그것.
결국
탄산음료의 특별한 맛은 혀의 미각과 촉각을 동시에 자극해서 나오는 셈이다.연구팀은 동물 중 포유류만 탄산 맛을 느끼는 이유도 연구하고 있다. 그들은 “포유류가 이산화탄소를 감지해야 하는 중요한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