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퍼진다. 생물이 호흡으로 얻은 산소와 물질대사로 만든 에너지는 혈관을 타고 온몸 곳곳으로 퍼진다.즉, 프랙탈을 따라 퍼진다. 주먹보다 작은 생쥐부터 집채만 한 고래까지 크기가 다양한 동물이 살아가는 비결은, 각각 몸집에 맞게 에너지를 골고루 보낼 수 있는 프랙탈 덕분이다.재미있게도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지평선에 가까운 곳에서만 발견됐기 때문이다. 지평선 너머의 우주는 알 수 없는 곳이니 악의 축이 우주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방향성인지를 확인할 수가 없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값을 측정하기에는 모집단의 크기가 너무 작다는 의미다. 비록 우리가 관측한 하나의 우주에서는 이상현상이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왼쪽 허벅지 뼈가 4점, 오른쪽 허벅지 뼈가 7점 출토됐다면, 이곳에 최소 7구의 시체가 있었다고 판단하는 식이다. 최소개체수 외에도 피해자의 규모를 좀더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 링컨지수나 근사개체수 등의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링컨지수(LI) : LI = LR/P(L = 왼쪽 뼈 개수,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100°로 사람 눈(120°)과 유사하고 별도로 초점 거리를 조정하지 않고도 가까운 곳과 먼 곳을 동시에 잘 볼 수 있는 렌즈”라고 설명했다. 트로펜하건 매니저는 “사용자들은 끊임없이 더 생생하고 더 진짜같은 경험을 원한다"며 "이 지점에서 새로운 시장이 생겨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덧붙였다. 활성산소는 텔로미어를 짧게 만들거나 단백질을 변형시켜 예상치 못한 곳에서 작동하게 만드는 등 노화를 부추긴다.백 교수는 “ 다른 사람과 교류하는 게 가장 좋은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나이가 들면 만나는 사람이 줄어들기 마련인데 관계의 감소에서 오는 고독감은 노화를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유럽에는 스위스 취리히에 연구소가 있습니다. 디즈니 리서치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곳은 미국 펜실베니아 주 피츠버그에 있는 연구소입니다. “마술이 아니다. 기술이다”엔터테인먼트 기술이 얼마나 첨단일까 반신반의할 수 있겠습니다만, 디즈니 리서치는 컴퓨터 그래픽스, 컴퓨터 비전, ... ...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침투한 전설의 해커 케빈 미트닉은 이런 말을 하기도 했죠.“보안에서 가장 취약한 곳은 쉽게 속아 넘어가는 사람의 마음이다.”그는 해킹 기술로 100만 달러 이상을 갈취했습니다. 이 사건은 기네스북에 최대의 해킹 사건으로 기록되기도 했죠. 더 놀라운 것은 그가 컴퓨터는 단 한 번도 쓰지 않고 ... ...
- [Career] “ 땅 속, 바다 아래 에너지 자원 있는 곳 어디든 가죠”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우리나라에서도 지열개발을 하나요?송재준 일본만큼 수요가 많지는 않지만, 개발 중인 곳들이 있습니다. 최근 포항에서는 땅속 4~5km 깊이까지 뚫어 지열에너지 개발을 시도하고 있죠.김수연 주로 땅속에서 에너지를 개발할 때 암석역학이 많이 적용되는군요.송재준 맞습니다. 가스하이드레이트도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굉장히 중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화산 폭발 시 화산재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 곳이 바로 북한이기 때문이다. 비록 전통적인 방법이지만 북한도 오랜기간 백두산을 조사하며 데이터를 축적해왔다.마지막으로 백두산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물었다. “종종 외국의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대회의 목표다.매년 11월, 전국 19개 시도에서 화재조사연구 논문을 한 편씩 출품한다. 한 곳에 모여 발표를 한 뒤, 논문 60점, 발표 40점 총 100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겨 등수를 가린다. 이 조사관은 “상금이나 특진 같은 보상은 없지만, 한국 화재조사의 전문성을 기르고자 하는 열정 하나만으로 다들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