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대회의 목표다.매년 11월, 전국 19개 시도에서 화재조사연구 논문을 한 편씩 출품한다. 한 곳에 모여 발표를 한 뒤, 논문 60점, 발표 40점 총 100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겨 등수를 가린다. 이 조사관은 “상금이나 특진 같은 보상은 없지만, 한국 화재조사의 전문성을 기르고자 하는 열정 하나만으로 다들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100°로 사람 눈(120°)과 유사하고 별도로 초점 거리를 조정하지 않고도 가까운 곳과 먼 곳을 동시에 잘 볼 수 있는 렌즈”라고 설명했다. 트로펜하건 매니저는 “사용자들은 끊임없이 더 생생하고 더 진짜같은 경험을 원한다"며 "이 지점에서 새로운 시장이 생겨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위험천만하고, 불안하고, 세상을 위협할 것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아직은 저들이 이곳의 생리를 이해하지 못하지만, 이해한 순간 이 세계는 곧 정신병적이며, 통제해야 할 어떤 것이 되고 말 것이다. 가치는 사라지고 짓밟힐 것이다.영희는 스마트폰을 꺼내들었다.“헌정 사상 초유의 사태예요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가까운 곳에 있다우리나라엔 몇 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지 알고 있나요? 2015년 말까지 확인한 결과, 우리나라엔 4만 5295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하지만 아무리 전문가들이라고 해도 모든 생물종을 확인할 순 없는 법~!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우리나라 땅의 넓이와 기후 등을 고려해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흘려 주면 끝없이 흐른다. 그래서 초전도체로 전선을 만들면 아무 손실 없이 전기를 먼 곳까지 보낼 수 있다.[첫 번째 연구] - 2차원 물질의 상태 변화를 위상수학으로 풀다사울리스 교수와 코스털리츠 교수는 위상수학을 이용해 2차원 물질의 상태가 바뀌는 원리를 밝혔다. 둘의 이름에서 알파벳을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기초과학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하는 이유다.분자 단위의 기계는 쓰일 곳이 매우 많다. SF 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몸속에 들어가서 암세포를 찾아 파괴하는 나노로봇을 비롯해, 지금보다 훨씬 작으면서도 더 용량이 큰 메모리칩을 만들 수도 있다. 분자기계에 대한 연구는 아 직 걸음마 ...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KIOST 연구진은 이사부호가 열수광상 위치를 정확하게 알아내고 광물자원이 많이 묻힌 곳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9년까지 독점광구 1만km2 중에 자원 비중이 높은 알토란 땅 2500km2를 선정해 ISA에 개발권을 신청할 계획이다.2016년부터 건조되는 선박은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1kWh 당 1.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노스폴은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생명체 화석 중 하나인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외계생명체를 연구하는 우주생물학자들이 자주 찾는 지역이다. 어떤 미사여구도 필요 없는 붉은 길을 가로지르자 사방이 붉은색으로 둘러 쌓인 지대가 펼쳐졌다. 마치 화성의 모래 폭풍 속에 서 있는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잘 찾아오고, 지도를 쥐어줘도 원하는 목적지까지 잘 못 찾아가는 ‘길치’라도 낯선 곳에서부터 집은 잘 찾아온다. 어쩌면 물고기나 새처럼 사람도 자기장을 이용한 귀소본능이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사람의 눈에는 새와 비슷하게 크립토크롬이 들어 있어서 자기장을 느낄 수 있다(doi:10.1038/ncomms ...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16차원에서 서대문자연사박물관으로 출동하셨어요. 신기한 화석이 가득한 곳에서 멋진 호박화석을 만들기 위해서랍니다. 생물의 흔적이 아니라 생물 자체를 그대로 보여 주는 신기한 호박화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지금 함께 만들어 볼까요? 영화 ‘쥬라기공원’을 본 적 있나요? ... ...
이전2842852862872882892902912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