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세포vs 병원체 몸속 슈퍼히어로의 전투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자기소개해주세요.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분자생물학자입니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와 럿거스대학교에서 컴퓨터그래픽과 시뮬레이션으로 생물학적인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고 있어요. 약 20년 동안 세포를 둘러싼 외부 환경과 세포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눈에 보이게 형상화하는 연구를 ...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비롯한 최신 기술 연구에 활용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죠. 아흐마디 교수는 미국 언론사 ‘와이어드’와의 인터뷰에서 “변수가 많은 어떤 다항식이 음이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라고 말했습니다.이전까지 학자들이 다항식이 음이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 시도했던 방법은 ... ...
- 탐험┃미국, 더 멀리, 더 많은 것을 보내기 위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삼아 2030년대 유인 화성 탐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더 멀리, 더 많은 것을 보내기 위해미국은 차세대 로켓인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을 개발 중이다. 이를 완성해 2020년 우주비행사를 태우지 않은 오리온(Orion) 우주선을 지구 궤도 밖으로 보내는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SLS는 한번에 26t까지 ... ...
- 탐험┃인도, 첫 시도에 성공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망갈리안 개발과 발사에는 총 7400만 달러(약 873억 원)가 들었는데, 같은 해 발사된 미국의 화성 탐사선 메이븐의 6억7100만 달러(약 7921억 원)에 비하면 10%를 살짝 웃도는 수준이었다. 인도가 우주 개발을 저비용 고효율로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은 자체 개발한 발사체 덕분이었다. 메이븐의 경우 발사에 ... ...
- 탐험┃ 천왕성 & 해왕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포함해 13개의 위성을 보유하고 있다. 천왕성과 해왕성을 직접 방문한 탐사선은 1977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발사한 보이저 2호가 유일하다. 보이저 2호는 1986년 천왕성을, 1989년에는 해왕성을 근접 비행했다. 이때 천왕성의 위성 10개와 2개의 고리를 발견했고, 해왕성에도 고리가 있는 것을 ... ...
- 영감┃어서오세요, 우주 레스토랑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한다.그간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우주 식품이 개발됐다. 1960년대 초까지 진행된 미국 최초의 유인 우주계획인 ‘머큐리 계획’에서는 튜브형 음식과 건조시킨 스낵 등을 주로 먹었다. 이후 수분을 없애면서도 색깔과 맛, 모양 등을 유지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오렌지 주스, 시나몬 토스트, 초콜릿, ... ...
- [과학뉴스]1000℃ 열에도 끄떡없는 단열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2월 14일, 미국 UCLA 두안샹펑 교수팀은 열과 충격에 강한 에어로겔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에어로겔은 안쪽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구조로, 가볍지만 충격을 잘 흡수하는 소재를 뜻해요. 또 구멍 사이에 갇힌 공기 덕분에 열전도율이 낮아 열차단 효과도 좋지요.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 ...
- 오퍼튜니티, 성과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사진이 대표적이랍니다.●인터뷰_ 오퍼튜니티 장수 비결은 바람이에요! _타냐 해리슨(미국 아리조나대학교 뉴스페이스 연구소 디렉터)Q 오퍼튜니티와 미션 팀에서 하신 일은?3년 전 합류해 Pancam을 다뤘어요. 카메라와 그 안에든 센서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화성 탐사 위성이 보내온 자료를 ... ...
- MIT, 냉장고 열전달 효율 높이는 기술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응결 시 액체 방울을 형성하기보다는 퍼지는 특성이 있어 효율이 떨어진다. 카림 칼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냉매가 효율적으로 응결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표면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반도체에서 박막을 만들 때 사용하는 개시제를 이용한 ...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진화하는 모습과 닮았음을 느낀다. 생명력을 가진 연구라고나 할까. 글. 김서현미국 캘리포니아공대에서 학사를 마친 뒤 현재 하버드대 화학및화학생물학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화학을 연구하던 중 생물학에 관심이 생겨 'RNA 세계 가설'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skim07@fas.harvard.edu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