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것이다. 이때가 초통일이론(Super Unified Theory : SUT)이 맞아 떨어지는 찰나다. 지금도
밤
하늘에서 빛나고 있는 큰곰자리의 은하 M82 중심부가 혼란돼 있어, 과연 이것이 우주 창조 초기인 대폭발(Big Bang)이 아닌가 하는 조심스런 반응이다. 이때의 온도는 ${10}^{11}$ K 이상. 그때 이후 우주는 점점 식어서 ...
헬륨기구 타고 세계일주 대모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바람이 모든 계획을 차질없이 끝내도록 허용할지는 의문이다.발진시기는 특별히 낮
밤
을 가리진 않지만 바람이 고요하게 가라앉아 있으면 대체로 적기로 간주한다. 발사장소는 미국 오하이오주 아크론 소재의 로랄 에어독(Loral Airdock). 수주동안 기구를 부풀렸다가 창공에 띄우는 이 발진기지의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봄별들을 인도하는 별자리가 백수의 왕 사자의 별자리다. 사자자리가 보이기 시작하면서
밤
하늘은 거대한 밀림을 연상시킨다. 북쪽하늘엔 덩치 큰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가 기지개를 켜며 겨울잠에서 깨어나고 있고, 그 바로 옆엔 곰의 포효에 놀란 기린이 몸을 감추려한다. 사자자리 위엔 갓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영사한다. 그런 다음 반사스크린 앞에서 전투기의 창문 앞에 앉아있는 인물이나 늦은
밤
에 걸어가는 두 여인을 원판(negafilm)에 합성한다.이 기법은 촬영현장에서 합성되는 장면을 감독이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배경화면과 실제 인물과의 합성화면을 본 감독은 늘 불만스러울 수밖에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별들을 보노라면 누구나 그 영롱한 아름다움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 모든
밤
하늘의 천체들은 얼핏 보기에는 서로 떨어져 살고 있는 것 같지만 예외없이 우리 인간사회처럼 가족을 이루고 있다. 항성의 대부분은 두 별로 이뤄져 있는 쌍성이거나 몇개의 별들로 이뤄져 있는 다중성이다.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즉 하지 때 이 별들은 태양 주위에 있어
밤
에는 져버린다는 의미와도 같다. 물론 그날
밤
에는 여름철의 별자리들이 떠야 한다. (그림6)에 왜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바뀌어야 하는지 잘 나와 있다.여기서 우리는 '하지점은 겨울철 별자리에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마찬가지로 동지점은 여름철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이 모습은 마치 하늘의 촛불이나 별을 이야기하는 신의 검은 혀와도 같다. 아마
밤
하늘의 어떤 사진도 관측자의 마음에 이 정도의 경외와 존경심을 불러 일으키지는 못할 것이다. 이달의 행성금성새벽에 보이며 그 위치는 사수자리에 점차 염소자리로 옮겨간다. 20일경에는 화성 근처에 있으며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것이 아닌가. 그렇게 하여 유타대학에서는 본의 아니게
밤
에 인터뷰를 하게 되었다. 한
밤
중에도 환하게 밝혀져 있던 유타대학 연구실은 아직도 인상깊게 남아있다.이런 과정을 거쳐 유치된 실장급 과학자들이 1966년까지 75명에 달했다. 이들에 대해 해외에 있던 동료 과학기술자들은 대부분 "당신이 ... ...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었다.모스크바 콤소몰스카야역에서 유라시아 대륙횡단열차에 몸을 실은 것은 한여름
밤
01시 15분이었다. 대륙의 서쪽에서 동쪽으로의 연속적 자연경관의 변화는 어느새 바이칼호를 경계로 크게 달라지며, 거기로부터 이틀을 더 달려 낯익은 동북아시아 자연 경관의 품으로 들어섰다. 중국 ... ...
멋진 별
밤
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밝혀졌다.이달의 집중탐구/오리온 대성운(The Orion Nebula, M42, NGC 1976)오리온 대성운은
밤
하늘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멋진 성운으로 M42, NGC1976이란 이름이 붙여져 있다. 가스 덩어리로 이루어진 이 성운은 거의 각거리 1도(보름달 지름의 두 배 크기)에 걸쳐 퍼져 있으며, 작은 관측기구로도 충분히 관측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