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내는 천체'만을 가리킨다. 따라서 위의 '별'은 '행성'이라고 고쳐 물어야 옳은 것이다.
밤
하늘에서 눈에 잘 띄는 화성도 역시 붉게 보이는 별이 아니라 행성이라고 표현해야만 옳은 것이다.이와 같은 예를 몇개 더 들어보자.대기 - 달에는 공기가 없다.(×) → 달에는 대기가 없다.공기 - 이곳의 공기는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다. 그러나 M31은 매우 어두워서 찾기가 상당히 어렵다. M33을 보기 위해서는 어두운
밤
이 필수적이며 쌍안경이 그 희미한 빛을 농축하기 때문에 망원경에 비해 더 효과적이다. 관측자들은 때때로 M33이 그들이 기대했던 것보다 더 크기 때문에 그냥 스쳐지나가는 수가 있다.기타 문의 사항이나 ... ...
4 개인용전화기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적용하는데 기본요금이 월 2만7천원이고 통화료는 10초당 25원씩이다. 공휴일 및 야간시간(
밤
9시~아침 8시)에는 30% 할인된 요금이 적용된다. 카폰단말기의 가격은 80만~90만원선.카폰의 출력전력이 6백mW~2W인데 비해 휴대용 전화기의 출력은 10mW내외다. 카폰은 자동차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지만 휴대용 ... ...
이성주 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날이 많은 남편을 이해해 주는 것도 큰 힘.구름에 가려 별이 한두개만 떠 있어도 총총한
밤
하늘이 금방 연상되고 그 별들을 보면서 나누었던 대화와 추억들이 모두 떠오른다는 이성주교사는 앞으로도 당분간 교사들, 학생들과 부단히 만나면서 천체관측의 중요성을 실제로 보여주는데 온 힘을 쏟을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것이다. 예를 들면 달은 14일은 낮이고 14일은
밤
인데, 낮에는 1백25℃까지 온도가 오르고,
밤
에는 -1백60℃까지 내려간다. 자전속도가 빠르다면 생활주기가 적응이 안되고, 번식을 하지 못해 생물들은 멸종할 것이다.지구의 크기가 10%정도 작다면?지구의 크기가 지금보다 10% 정도 더 크거나 작다고 해도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모습을 볼 것으로 기대됐다. 태양이 잠시 사라지자 하늘은 몇시간전에 어두웠던
밤
과 같이 돼버렸다. 아직도 구름이 90%정도 낀 상태였기 때문에 별이나 행성의 모습은 볼 수 없었다. 엷은 구름때문에 코로나의 휘선은 볼 수 없었고 흑태양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붉은 홍염을 볼 수 있었다. 개기식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가능하다.달에서 하늘을 보는 것을 상상해 보자. 태양이 빛나는 곳을 제외한 모든 하늘은
밤
도 낮도 구별없이 수 많은 별들로 덮여있다. 별들은 반짝거리지 않고 오직 찬란한 빛을 쏟아낸다. 저쪽 월평선에서는 크고 푸른 영롱한 지구가 무수한 생을 담고 소리없이 떠오른다. 들리는 것은 오직 자신의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다 자란다. 발정기는 5~7월과 8~9월에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정기에 접어든 암컷은
밤
낮을 가리지 않고 수컷을 찾아 다닌다. 때로는 오줌과 똥 등의 배설물을 사방에다 뿌려서 자신의 위치를 수컷에게 알리기도 한다. 임신을 한 암컷은 35~49일만에 3~7마리의 새끼를 낳는다.갓 태어난 새끼는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한 뒤 곧바로 산화(?)하는 하루살이의 슬픈 이야기문제1 여름
밤
에 캠핑을 하거나, 집에 있을 때 우리를 가장 괴롭히는 곤충이 바로 모기다. 모기에 한번도 물려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모기에 물리면(침에 쏘이면) 따끔하고 부어오르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모기의 침은 몇개이고 어떤 역할을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지붕을 가진 작은 집처럼 보인다. 우선 집 바닥 바로 아래에 있는 뮤별을 보자. 이 별은
밤
하늘에서 가장 뚜렷한 색을 가진 별 중의 하나다. 월리엄 허셜 경은 그 진한 붉은 색을 따라서 이 별에 '가네트 스타'(석류석 별)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별은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 심지어 맨눈으로도 관측이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