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층간소음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중요하게 연구하고 있는 것이 바로 소리를 창작하는 일이에요. 전화나 문자가 왔을 때
알
려주는 벨소리와 스크린을 누를 때마다 들리는 소리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귀청을 울릴 만큼 째지는 소리가 많았어요. 조용한 곳에서 문자가 오는 것만으로도 주변에 민폐를 끼칠 수 있었지요. 하지만 요즘은 ... ...
아기가 죽어도 슬퍼하지 않는 엄마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아기의 어머니도 함께 불려갈 수도 있지요.출산이 임박하면 !쿵족 여성은 아무에게도
알
리지 않고 마을에서 몇 백 미터 걸어나와 나뭇잎으로 자리를 깔고 그 위에서 아이를 낳아요. 출산 장소는 대부분 아기의 첫 울음소리가 마을 사람들이 들을 만큼 가까운 거리에 있죠. 산모의 여자 친척과 ... ...
우유속 단백질, 화재 막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카제인 코팅처리를 하지 않은 혼합섬유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느린 속도로 타들어갔다.
알
론기 박사는 “카제인이 직물 위에 숯과 같은 층을 형성해 연소 반응을 억제시켰을 뿐 아니라 독성 가스도 발생시키지 않았다”며 “카제인이 재료에 확실히 달라붙도록 만드는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해 ... ...
[교과연계수업] 층간소음 바로
알
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알
수 있다. ③ 소음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다. ➃ 소음을 줄이는 방법을
알
수 있다. 4. 교과 연계초등 3~4학년 파동, 소리의 발생, 세기, 전달 5. 수업 지도 순서층간소음을 경험해 본 적이 있는지 학생들에게 묻고, 대답을 들으면서 소음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 소음의 정확한 뜻이 ... ...
초신성 폭발의 비밀 밝힐 실마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별을 수축시킨다. 그런데, 중심부의 무거운 원소가 어떻게 별밖으로 튀어나가는지
알
수 없었다.아네트 교수팀은 1987년 폭발한 초신성 ‘1987A’의 밝기와 당시 배출된 방사선 자료를 슈퍼컴퓨터로 다시 분석했다. 그 결과 폭발에 다다른 별내부가 중심부 핵과 외곽 물질로 나뉘어있긴 하지만 그 ...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감염력 높은 구제역 백신은 1930년대에 개발됐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구제역과 AI가 발생하면 백신보다는 반경 2~3km 안의 가축과 조류에 대한 살처분이 우선이다. 살처분 방식이 백신 접종보다 더 효과적이기 때문일까.사실 이런 논쟁이 벌어진 건 최근의 일이 아니다. 195 ... ...
사물인터넷 사이보그 세상 연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기업은 효율성이 높아지고, 고객은 자신이 주문한 제품이 어디 있는지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 된다.최근 TV에 방영된 SK텔레콤의 광고에서도 사물인터넷으로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잘 볼 수 있다. 이 광고는 사물인터넷으로 구축할 수 있는 4개 시스템을 보여준다. 자동차가 스스로 감지한 기상상황 ... ...
썩소라도 웃는 게 보약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있었다.참가자들이 각자의 표정을 유지하며 과제를 하는 동안 연구팀은 스트레스 정도를
알
려주는 심장 박동을 측정했다. 그 결과 진짜든 의례적이든 일단 미소를 지은 참가자들은 무표정한 참가자들에 비해 심장 박동이 비교적 낮게 유지됐다. 그리고 진짜 미소를 지었던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가장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것은 아닌데 어디를 지났는지는
알
수 있다”로 요약할 수 있다. 어느 구멍을 지났는지
알
았다면 전자가 입자로서 행동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상보성원리에 의해 여러 개의 줄무늬는 사라져야 한다. 줄무늬는 파동의 성질이니까. 한편, 불확정성원리에 기반한 파인만의 설명대로라면 빛이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소치 동계올림픽 주요 종목을 살펴봤어요. 겨울 스포츠는 장비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죠? 과학으로 더 뛰어난 장비를 만들수록 더 좋은 성적을 낼 수 있거든요. 다음 동계올림픽에서 또 어떤 멋진 과학기술을 볼 수 있을지 기대되네요. 그럼 우리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다시 만나요~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