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HOMO SAURUS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불러도 대답 없는 그 이름, 공룡. 과거에는 거대한 뼈밖에 몰랐지만 이제는 삶까지 이해하는 수준이 됐다. 짝사랑의 페이스북을 몰래 보듯이, 공룡학자들은 공룡이 ...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백악기 말. 지구는 아직 따뜻하다. 비록 2500만 년 전(기사 시점 기준. 지금부터 9000만 년 전)부터 기온이 조금씩 떨어지고 있고 그래서 백악기 전체 평균에 비해 약 2~ ...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것은 아닐까?블랙홀과 양자역학을 둘러싼 이런 혼란이 결국 어떻게 해결될지는 지금 알 수 없으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지난 20년간 초끈이론과 양자중력의 발전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이 바로 블랙홀과 양자역학이 공존할 수 있느냐, 그리고 그렇다면 정확히 어떻게 공존하느냐 하는 물음이라는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운석 충돌 후 새로운 식물이 많이 자라기 시작했다. 주로 고사리 같이 생기고 매우 질긴 식물들이었다. 옛날의 꽃식물에 비해 영양가가 부족한데다가 추울 때는 시 ...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Stand by, stand by. All Station stand by.”1월 30일. 선내를 가득 울리는 경보음과 함께 쇄빙연구선 ‘아라온(선장 김봉욱)’이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 ... 283km 떨어진 이들은 과연 어떤 소식을 전하게 될까. 남극 땅을 마지막으로 밟으며, 아무도 알지 못하는 겨울을 맞이하게 될 이들이 부러워졌다 ...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다시 보니 9000원이다. 당황했는가? 그래도 여러 번 측정하면 얼마가 나올지 그 확률은 알 수 있다. 이것이 양자역학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예측이다.정리해보자. 측정하는 행위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 위치와 운동량을 모르면 ...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소치 동계올림픽 주요 종목을 살펴봤어요. 겨울 스포츠는 장비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죠? 과학으로 더 뛰어난 장비를 만들수록 더 좋은 성적을 낼 수 있거든요. 다음 동계올림픽에서 또 어떤 멋진 과학기술을 볼 수 있을지 기대되네요. 그럼 우리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다시 만나요~ ... ...
- [체험] 2014 태국 탐사대, 푸른 바다에 녹색 꿈을 심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시작된다. 바다 거북은 바다로 가는 동안 주위의 환경과 냄새 등을 기억해 10년 뒤 다시 알을 낳으러 이 해변으로 돌아온다.탐사대원들은 먼저 각자 자신이 방생할 거북의 이름을 짓고, 마련된 공책에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적었다. 연구센터에서는 10년 뒤에 방생한 거북이 돌아오면, 직접 방생한 ... ...
- 홍자의 친구 사귀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4년 03호
- 99분보다 훨씬 적은 시간이 걸린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그래프 구조가 필요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친구 사이, 행복과 비만도 전염된다!부모님들이 자주 하시는 말씀 중에 ‘친구를 잘 사귀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친한 친구끼리는 서로 행동이나 말투, 습관 등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좋은 ... ...
- 말 타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예부터 우리 조상 곁을 지켜온 동물이다.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의 알을 지킨 것도 말이었고, 고구려를 세운 주몽이 승천할 때 탄 동물도 말이었다. 이처럼 명색이 기마민족의 후예인데, 주변을 둘러보면 말 타는 사람이 거의 없다. 독일에서는 여성이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가 승마라는데….말을 타는 ... ...
이전2842852862872882892902912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