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블록으로 구조물을 짓는다고 가정해 봐요. 어떤 공간을 레고 블록으로 다 채우려면 블록
100
개가 필요한데, 우리는 블록 50개만 이용해서 가장 튼튼 구조를 지으려고 해요. 대체 어떤 모양으로 구조물을 만들면 될까요?가장 쉬운 방법은 가능한 경우를 일일 다 따져 보는 거예요. 하지만 이건 경우의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에어컨우산’흰개미는 사람 키보다 더 높은 아파트(사진)를 짓는 최고의 건축가예요.
100
만 마리 이상이 살 수 있도록 높게 지어요. 그럼 뜨거운 공기는 위로,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이동한답니다. 그래서 흰개미들은 뜨거운 공기가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천장에 구멍을 뚫어놓지요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사막화 현상을 겪고 있다. 도시 기후를 전공한 권영아 건국대 지리학과 박사는 “지난
100
년간 세계 평균기온이 0.74℃ 상승했다면 서울은 2℃ 넘게 올라 상승 폭이 두 배 이상”이라며 “아직까지 집중호우와 같은 물난리에 관심이 쏠려 있고 생활할 때 물 부족 현상을 체감하지는 못하겠지만 대기 중 ... ...
엄마! 수학 잘하게 형 낳아 주세요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수학 점수가 잘 나오냐고 물었다. 그는 “형 있는 사람이 수학을 잘한다는 것은 수학
100
점을 받는다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어디까지나 언어보다 수학을 잘한다는 말이다. 바로 ‘동료효과’때문이란다.동료효과는 동료의 행동과 사고방식에 영향을 받아 개인의 행동이 변하는 것을 말한다. 2009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경쟁하지 않는다. 신갈나무는 전남 대둔산에서부터 함북 온성에 이르는 지역의 해발
100
m 높이에서 1800m까지 전국 각지에서 살고 있다. 상록침엽수인 구상나무는 제주도 한라산 해발 1200m지점을 중심으로 제한된 지역에 분포한다. 두 나무는 최적 환경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서식지 확보를 위해 경쟁할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이런 필요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가 취재 첫날 방문한 ‘빅터 인슐레이터’다. 이 기업은
100
년에 걸쳐 세라믹 전기 절연체를 생산해 왔다. 그러나 중국 기업에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면서 사업이 침체에 빠져 있다. 이라 닉커보커 사장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고 ... ...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필요하다. 1970년대 초반 도심의 팽창을 막기 위한 그린벨트 덕분에 서울 주변의 해발고도
100
m 이상 산악지역은 무분별한 개발이 억제됐다. 이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는 냉기류가 서울 도심 주변 산지에서 형성돼 서울에 공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정책에 따라 수십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따라 동전의 앞면과 뒷면처럼 2개의 값 중 하나를 출력하는 컴퓨터 장치다. 얀 교수팀은
100
명의 실험참가자들이 원하는 값을 REG가 내보내도록 생각하게 했다. 12년 동안 1500회 넘게 실험을 반복한 결과, 얀 교수팀은 7시그마의 정확도(99.999999999965%)로 참가자들의 생각이 실험결과에 0.01% 만큼 영향을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전혀 엉뚱한, 필요없는 형태로 바뀌는 경우가 많아. 예를 들어 화석연료에 에너지가
100
만큼 있다면 이 화석연료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만들 때 전기에너지는 20만 만들어지고 80이 열 에너지로 바뀌는 거지. 에너지 효율이 20%밖에 안되는 셈이야. 영구기관은 에너지 효율이
100
%야. 이게 얼마나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전부터 예측해 온 입자가 있는데, 적절한 질량을 지니는 미지의 입자를 새로 발견했다.
100
% 확신할 수는 없지만, 정황상 힉스일 가능성이 높다’였고, 당시 내릴 수 있는 최선의 결론이었다.연구가 미진했던 것은 아니다. 입자물리학 연구는 데이터가 생명이다. 수없이 많이 일어나는 잡음 같은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