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d라이브러리
"
대신
"(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g(3)과 g(1)을 계산해 놓고) 나중에 곱셈을 한 g(3)×g(1)이 같은 결과를 준다. 한편 지수함수
대신
에 로그함수를 사용하면 곱셈구조를 덧셈구조로 유지해준다.이런 종류의 함수를 암호에 사용하면 당장 문제점이 생겨난다. 함수 h(x)를 암호에 쓴다고 하자. 비밀정보가 두 개 (x강아지, x야옹이)있을 때 그 ... ...
Part 2. 뼈대있는 스키 가족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길이가 짧은 스키는 다루기 쉽고 회전에도 효과적이야. 회전경기용 스키는 길이가 짧은
대신
앞뒤 폭이 넓고 가운데는 좁아. 이런 스키는 회전할 때 눈을 날카롭게 파고들어 회전 반지름을 최대한 줄여서 회전이 빠르게 이뤄지도록 돕지. 스키가 회전할 때 날리는 눈발이 거의 생기지 않고 칼로 그린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짙은 색 헝겊을 이용해 수를 표시한 결승문자가 그것이지요. 양반들도 어려운 한자
대신
산가지를 이용해 덧셈, 뺄셈은 물론 곱셈과 나눗셈, 방정식까지 계산했습니다.”어려운 한자보다는 간단하고 알아보기 쉽게 수를 표시해 수 계산이 편리했을 것 같네요. 그러면 아라비아 숫자는 언제부터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혜성이나 소행성에서 왔음을 시사하고 있다.유전자치료 부활작동하지 못하는 유전자
대신
정상 유전자의 DNA를 넣어 질병을 원천적으로 낫게 하는 유전자치료가 최근 잇달아 성공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유전자를 운반할 좀 더 안전한 바이러스를 만들어, 서서히 눈을 멀게 하는 레버선천성흑암시,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길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물도 거의 바닥을 드러냈다. 힘을 아끼려고 대화는 최소화했다.
대신
가벼운 수신호로 상대의 상태를 파악했다. 생각도 하지 않았다. 오로지 두 발의 움직임만 의식했다. 5시간쯤 걸으니 날이 어두워졌다.잠시 멈추고 GPS로 위치를 확인했다. ‘허걱!’ 지도와 비교해보니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억제제 단백질 DKK2를 넣어 암컷 쥐의 자궁에 착상시켰다. 이 경우 무늬는 털 색깔의 패턴
대신
털이 난 부분과 없는 부분의 분포 패턴을 뜻한다.실험 결과 억제제 단백질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실제로 털이 듬성듬성 특정한 모양으로 분포하는 쥐가 태어났다. 억제제 단백질이 제대로 ... ...
판다는 원래 ‘육식성’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않아 고기의 맛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섬유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한
대신
, 내장에 들어 있는 박테리아가 대나무를 소화시킨다”고 설명했다.연구진은 이번 유전자 분석이 멸종 위기에 처한 판다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2월 13일 발행된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생깁니다. 이런 상황에 대처하려면 하천을 관리한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둑
대신
IT로 홍수 막는다1993년 미국 미시시피강 대홍수가 이런 발상의 전환의 계기가 된 사건이다. 당시 남한 면적보다 넓은 지역이 물에 잠겼고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이를 보고 많은 토목공학자들은 둑을 높이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부분(가시돌기)이 있어 등 근육이 붙는다. 아틀라스는 지지해야 할 척추 뼈가 없는
대신
머리뼈를 지탱해야 하므로 머리 운동과 관련된 근육이 와서 붙는다. 그래서 가시돌기가 없고 둥글다. 도넛처럼 생긴 덕에 머리 무게는 아틀라스 전체에 골고루 분산된다. 아틀라스가 제2 척추에 꽂혀 있어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나노입자들이 규칙적인 크기와 배열로 모여 있기 때문에 광결정으로 이용할 수 있다.물
대신
빛을 쬐면 딱딱해지는 감광성 액체를 사용하면서 구형 광결정을 빠르게 생산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물방울은 증발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연속 생산에 문제가 있다. 연구단은 감광성 액체를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