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 Infographic ] 플라스마는 어디에나 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플라스마는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태양이나 오로라같이 지구 대기권 밖에 있는 우주 플라스마, 공장이나 실험실에서 주로 쓰는 산업 플라스마(저온·열플라스마),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는 초고온 플라스마. 이것들이 존재하는 영역은 온도가 1K에서 1010K까지, 밀도는 1개/cm3에서 1030개/cm3까지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악어의 전성기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였다. 트라이아스기가 끝나자 모든 것이 180˚ 바뀌어버렸다.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대부분의 악어는 절멸해 버렸고, 이들의 빈자리를 공룡이 재빠르게 차지해버렸다. 겨우 살아남은 일부 악어는 공룡의 그림자 밑에서 지내야 했다. 놀랍게도 이들은 기상천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기자에겐 고질병이 하나 있다. 건강 검진을 받으면 모든 항목에서 ‘정상’을 받을 정도로 건강한 편인데, 중요한 시험이나 면접을 앞두곤 예외 없이 배탈이 난다. 과민성 장 증후군이다. 병원에 가봐도 스트레스가 원인이라는 말 이상은 들을 수 없었다. 스트레스가 만병의 원인이라지만, 이 경우 ... ...
- [쇼킹 사이언스] 얼음 호수 속에서 기체가 방울방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공기 방울의 계절이 왔어요! 오래 머물지 않으니 날씨가 따뜻해지기 전에 어서 보러 오세요!”지난 1월 13일, 캐나다인 사진작가 칼럼 스네이프는 트위터에 하얀색 땡땡이 무늬가 박힌 얼음 사진을 올렸어요. 이 공기 방울의 정체는 뭘까요?칼럼이 공기 방울을 본 곳은 캐나다 알버타주에 있는 아 ... ...
- [과학뉴스] 구름은 빙하를 녹이는 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날씨가 맑은 날과 흐린 날 중 언제 빙하가 더 빨리 녹을까요? 벨기에 루벤가톨릭대학교 니콜 반 리프지크 교수팀은 오히려 흐린 날 빙하가 더 빨리 녹는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그린란드 빙하는 지구 해수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에요. 세계에서 2번째로 큰 그린란드 빙하가 녹 ... ...
- [과학뉴스] 달은 두 행성의 ‘정면 박치기’ 결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달 생성에 대한 가장 유력한 가설은 충돌설이다. 많은 과학자들이 생긴 지 100만 년쯤 된 초기 지구와, 원시 행성인 테이아(Theia)가 충돌하면서 달이 만들어졌을 거라고 본다. 그런데 최근 그 세부과정을 밝힌 논문이 ‘사이언스’ 1월 29일자에 실렸다.미국 UCLA 지구행성우주과학과 에드워드 영 교수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번 발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전에, 중력과 중력파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모두가 알고 있는 것처럼, 우리는 매순간 중력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17세기에 아이작 뉴턴이 발표한 만유인력의 법칙은 중력에 관한 첫 번째 이론이다. 두 물체사이에서 서로를 잡아당기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우락부락한 외모와 어기적거리는 움직임의 주인공, 악어. 그러나 이들도 한때는 친척인 공룡만큼이나 놀라운 몸집과 외모를 가졌던 동물이다. 동물원에 조용히 누워있는 악어의 잘 알려지지 않은 과거사를 슬쩍 들춰보자.오늘날 지구에 살고 있는 악어는 총 24종으로, 이들은 형태에 따라 크게 세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캉캉캉캉!”하루종일 피곤했던 몸을 겨우 누인 시원이가 막 잠이 들려고 하는 찰나, 시끄러운 금속성 소리가 들려왔어요. 지원군 선배는 짜증이나서 이불을 막 걷어차 올리는 시원이에게 태연스레 말했어요.“소집이네. 어디 한번 가 볼까?”한밤중에 웬 소집이라는 걸까요?“반가워! 난 조금만 ... ...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년 03호
- 2월은 혼돈의 한 달이었다.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그랬다. 굵직굵직한 일들이 국내외에서 터져 나왔다. 꼭 과학 분야에 국한된 일은 아니었다. 사회, 외교, 보건 등 언뜻 과학이나 기술과는 관련이 없어 보이는 일들이 뉴스를 뒤덮었다. 하지만 이미 많은 사람이 깨닫고 있을 것이다. 세상 그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