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도
도면
d라이브러리
"
지구도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슈퍼 화산’ 옐로스톤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미국 중부의 옐로스톤 화산은 규모로 보나 폭발위력으로 보나 ‘슈퍼 화산’이다. 지질학자들은 오랫동안 옐로스톤 화산이 1600만 년 전 거대한 암석 덩어리가 맨틀 밖으로 솟아올라 만들어졌다고 추정해왔다. 이에 대해 미국 일리노이대 린주 리우 교수팀은 맨틀에서 암석이 한 번에 올라오는 것은 ... ...
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작년 9월 14일 지구에 도착한 중력파는 미국 핸퍼드와 리빙스턴 두 곳에 설치된 라이고(LIGO)로 검출했다. 라이고는 양쪽으로 팔이 4km씩 뻗은 ‘L’자 모양의 레이저 간섭계다. 이번 중력파는 라이고의 양 팔의 길이를 4x10-18m(양성자 지름의 200분의 1)만큼 변화시켰다.라이고‘늘었다 줄었다’ 중력파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지난 1월 20일,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칼텍) 행성과학지질학과 콘스탄틴 배티진 교수와 마이클 브라운 교수는 태양계에 9번째 행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천문학 저널’에 발표했다(doi:10.3847/0004-6256/151/2/22). 이들은 카이퍼 벨트에 있는 소천체 6개의 궤도를 보고 행성의 존재를 확신했다고 밝혔다.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우리는 매일 웃는다. 현실에서 웃을 일이 자꾸 사라져 간다지만, TV와 온라인 공간에서 각종 예능 프로그램과 웃긴 동영상을 탐닉하며 짧게나마 웃는다. 그래서일까. 우리는 웃음이, 인간이 탄생하기도 전에 나타나 영겁의 세월 동안 자연선택에 따라 생존과 번식에 도움을 주며 잘 다듬어져 온 놀라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죽는 건 정말 안 좋은 일이었다. 인생을 살면서 겪은 일 중에 거의 최악이었다. 죽으면 모든 고통이 사라지니까, 다 없어지고 아무 것도 없어지니까 차라리 낫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던 적이 있기는 했다. 그런데도 막상 죽을 때 느낌은 그 모양이었다. 박승휴 따라 주식투자하다가 망했을 때 그 생각 ... ...
[특별 인터뷰] 열혈 탐사팀 무지개빛 식물사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2015년, 쟁쟁한 지사탐 우수탐사대원들 명단에 당당히 이름을 올린 팀이 있어요. 바로 지난 해 처음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시작한 ‘무지개빛 식물사랑’ 팀이에요. 어떻게 탐사 첫해에 우수탐사대원으로 뽑힐 수 있었을까요? 무지개빛 식물사랑 팀의 김민준 대원에게 그 비결을 물어 봤어요.원래 ... ...
[과학뉴스] 지하수가 해수면 상승 막는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와 미국 UC어바인 공동 연구팀이 기후변화로 육지의 물 저장 용량이 늘면서 해수면이 상승하는 속도가 일시적으로 늦춰졌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발표했다.과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지구의 물 순환 패턴이 해수면 상승에 급격하게 영향을 ... ...
[과학뉴스] 덩치 크면 가스형 행성? 속단은 금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칠레 폰티피셜 카톨릭대 연구팀이 케플러망원경으로 우주에서 가장 큰 암석 행성을 찾아냈다고 1월 28일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org)’에 밝혔다. 지름이 지구의 2배 이상이고, 질량은 16배가 넘는 이 행성의 이름은 BD+20594b로 2015년 처음 발견됐다. BD+20594b는 밀도가 1cm3 당 8g으로 지구의 5g ... ...
[News & Issue] 스콜레사이트(Scolecite) 인도에서 온 붉은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중생대가 저물어 가는 백악기 말 인도의 남서부, 현재의 뭄바이 인근에서 기록적인 화산 분화가 일어났다. 이 분화는 최소한 3만 년 이상 지속됐고, 여기서 분출된 용암은 현재 남부 인도 면적의 절반인 100만 km2의 넓은 지역을 겹겹이 덮었다.이곳이 현무암으로 이뤄진 데칸고원이다. 한반도 전체를 ... ...
[과학뉴스] 매머드 화석에 인류가 남긴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최근 러시안 과학아카데미의 블라디미르 피툴코 교수팀이 극지방에 살았던 매머드 화석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인간이 사냥을 했던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이를 위해 연구팀은 시베리아 중부에서 발견된 4만 5000년 전의 매머드 화석을 조사했어요. 그리고 이 화석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뼈에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