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79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색왜성을 도는 왜성 두배 크기 행성 최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남은 별인 백색왜성을 도는 행성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보리스 갠시케 영국 워릭대
물리
학부 교수 연구팀은 백색왜성을 도는 거대 얼음 행성을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이달 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태양처럼 수소를 핵융합 연료로 활용하며 스스로 빛나는 별은 수소를 다 쓰면 ... ...
대전 복합 과학문화 공간 'IBS과학문화센터' 문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수 있다. 18일 저녁 7시에는 ‘지구온난화의 비밀’을 주제로 악셀 팀머만 IBS 기후
물리
연구단장이 개관기념 대중강연을 연다. 팀머만 단장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기후과학자들의 활약과 IBS의 미래 기후 연구 사례를 소개한다. 대중 강연은 사전신청 홈페이지(https://vo.la/u2PF)에서 신청할 수 있다. ... ...
태양의 미스터리 '코로나 가열 현상' 유력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급격한 가열 현상의 원인이 밝혀졌다. 데이비드 제스 영국 벨배스트 퀸스대 수리
물리
학과 교수와 이탈리아, 스페인, 노르웨이, 미국 연구팀으로 구성된 ‘태양 저층대기파장연구단(WaLSA)’은 태양 채층 및 코로나의 급격한 가열 현상이 일으키는 구조의 존재를 관측을 통해 밝혀 천문학 분야 국제 ... ...
태양서 멀어질수록 떨어지는 태양풍 속도 재확인
연합뉴스
l
2019.12.04
' 장비로 측정한 자료로 태양풍의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보여주는 논문을 학술지 '천체
물리
학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최신호를 통해 발표했다. SWAP는 태양풍의 변화를 매일 자세하게 측정했을 뿐만 아니라 성간우주 물질이 태양권(heliosphere)에 들어와 태양 빛에 이온화된 "성간 픽업 이온 ... ...
‘나노 셔터’로 전자 움직임 포착하다
과학동아
l
2019.12.04
계산한 결과 전자가 최대 250GHz의 진동수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심흥선 KAIST
물리
학과 교수는 “양자역학 상태를 제어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돌파했다”며 “초정밀 전자기장 센서 등 차세대 양자정보 소자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65-019-0563-2 ... ...
뇌세포처럼 반응하는 '인공 뇌세포'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찾을 예정이다. 알랭 노가레 영국 바스대
물리
학과 교수(왼쪽)와 카말 아부핫산 바스대
물리
학과 연구원(오른쪽)이 인공 뇌세포의 전기적인 활동을 관찰하고 있다. 영국 바스대 ... ...
태양전지 효율 이론 한계 뛰어넘을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7%를 넘어 46%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이영희 나노구조
물리
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를 통해 빛에너지에 비례해 전류가 늘어나는 ‘캐리어 증폭’ 현상을 2차원 물질에서 최초로 관찰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 ...
[주말N수학]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
수학동아
l
2019.11.30
어떻게 운동하고 있는지를 예측하는 문제를 말합니다. 17~18세기에 활동한 수학자이자
물리
학자인 아이작 뉴턴은 태양과 지구, 달처럼 서로 만유인력으로 상호작용하는 세 천체의 궤도를 구하는 문제를 제시했습니다. 이후 많은 수학자가 이 문제에 매달린 끝에 19세기 프랑스 수학자 앙리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빛의 속도로 이해하는 상대성이론》을 썼고 《최종이론의 꿈》, 《블랙홀 전쟁》, 《
물리
의 정석》 을 옮겼다. 한국일보에 《이종필의 제5원소》를 연재하고 있다. ... ...
뇌파만으로 순간적인 졸음 감지하는 AI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9.11.27
기술이 나왔다. 그러나 기존 기술들은 순간적인 졸음을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고 여러
물리
적인 변화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해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뇌파 검사결과에 기계학습 모델을 적용해, 뇌파만으로도 2분 이내 순간적인 졸음을 감지하는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