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7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코팅'으로 미세플라스틱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0
나노입자로 만들었다. 그런 다음 표면처리해 물성을 강화했다. 표면처리는 표면을
물리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키토산을 이용한 나노입자 코팅 공정으로 자기세정과 반사방지 기능을 가진 유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키토산 입자를 식품이나 약물 전달을 위해 ... ...
정우성 포스텍 교수, 아태
물리
학연합회(AAPPS) 최연소 평의원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올해 1월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에 선출됐다. 2016년부터는 아시아태평양이론
물리
센터(APCTP) 최연소 사무총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편 정 교수는 내년 1월부터 AAPPS가 발간하는 학술지 ‘AAPPS 불러틴(AAPPS Bulletin)’의 부편집장으로도 활동할 계획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뇌(entropic brain)’라는 흥미로운 개념을 제안했다. 엔트로피는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물리
학 용어로 연구자들은 뇌의 활동 패턴에 적용했다. DMN의 지배력이 클수록 뇌의 엔트로피가 낮아지고 그 극단이 우울증과 중독, 강박이라는 것이다. 반면 DMN의 영향력이 약화돼 뇌의 엔트로피가 높은 상태의 ... ...
손상된 섬유로 웨어러블 기기용 직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접거나 구기는 실험에서도 형태나 전기전도도가 유지됐고 세탁도 가능할 정도로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한 발 더 나아가 탄소 방적 직물을 리튬이온전지 전극에 들어가는 필수 소재인 집전체로 활용했다. 실험 결과 기존 알루미늄 집전체에 비해 저항값이 낮아 ... ...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 높은 리튬금속전지 안정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7
KIST)은 조원일 에너지저장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리튬금속전지의
물리
화학적 불안정성을 제거할 리튬-알루미늄 합금 기반의 새로운 음극재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전해질 시스템을 최적화해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수명을 2배 끌어올리는 데도 성공했다. 리튬금속전지는 리튬금속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의 '품질 관리' 다운증후군 기억력 저하 치료길 열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1.17
병을 낫게 할 수도 있다. 피터 월터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생화학 및 생
물리
학부 교수와 마우로 코스타마티올리 미국 베일러의대 신경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세포 내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해 단백질의 합성과 분해를 조절하는 경로인 ‘통합 스트레스 반응(ISR)’의 결함이 ... ...
공중에 뜬 '지구본', 알고 보니 '허공 속에 구슬로 그린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1.14
히라야마 류지마 영국 서섹스대 공학및정보학대학원 연구원과 일본 도쿄이과대 응용
물리
학과 연구팀은 3차원(3D) 영상과 음향, 촉감을 동시에 제공하는 신개념 디스플레이인 ‘다중감각 음향덫 디스플레이(MATD)’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3일에 공개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 ...
고주파 무선으로 전력 공급받은 경전철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4
변환해 열차 추진 및 보조 전원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물리
적인 접촉식 장치가 필요없어 유지보수 비용이 약 20% 줄어든다. 열차 윗부분에 전차선이 없기 때문에 지하철에 적용할 경우 터널 시공시 터널 단면적을 10% 이상 축소할 수 있다. 또 전차선과 집전장치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빛의 속도로 이해하는 상대성이론》을 썼고 《최종이론의 꿈》, 《블랙홀 전쟁》, 《
물리
의 정석》 을 옮겼다. 한국일보에 《이종필의 제5원소》를 연재하고 있다. ... ...
생명체 거주 가능 '골디락스' 행성도 행성 나름
연합뉴스
l
2019.11.13
3D 기후모델링 등으로 M형 왜성 분석…자외선 복사가 결정적 변수 [NASA/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D. Aguilar 별 주변에는 너무 차갑지도 않고 뜨 ... 온라인 과학 저널 '아카이브(arXiv)'를 통해 공개됐으며 14일 발간되는 학술지 '천체
물리
학 저널(Astrophysical Journal)'에 실릴 예정이다.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