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11
작게 찍힌다. 렌즈가 50mm 표준렌즈도 괜찮지만 보다 넓은 하늘을 담을 수 있는 초점
거리
24-28mm, F1.4-2.0 정도로 밝은 광각렌즈가 있으면 더욱 좋다. 조리개는 F2나 F2.8 정도로 약간만 조인다. 완전히 개방하면 렌즈의 수차 때문에 사진의 가장자리 별들이 심하게 찌그러져 보기 싫은 사진이 돼버린다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화학상-아메드 즈웨일
과학동아
l
199911
1초 동안 흡수한 X-Y분자는 이제 X와 Y원자를 연결해주던 화학결합이 분해되며 X와 Y의
거리
가 멀어지기 시작한다. 이때 X-Y분자는 화학반응의 출발점(반응물)이며 완전히 분리가 종료된 X원자와 Y원자는 화학반응의 종착점(생성물)이 된다.X-Y분자가 완전히 분리된 X와 Y원자로 변화되는데는 약 50초가 ... ...
오목 거울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11
점점 작아지면서 거울 쪽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상자를 거울 쪽으로 이동시키면, 즉 초점
거리
의 2배보다 가까운 곳에 두면 상은 점점 커지면서 관찰자 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작도로 확인할 수 있다.오목 거울에서 항상 실상만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물체를 초점 안쪽에 두면 물체의 한 점에서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11
하나의 세포에 들어 있는 사람의 DNA에는 30억 개의 염기 쌍이 들어 있고, 염기 쌍 사이의
거리
는 3.4옹스트롬(1Å=${10}^{-10}$m)이다. 하나의 세포에 들어 있는 사람의 DNA를 한줄로 연결하면 전체 길이는 얼마 정도가 될까? DNA를 지름이 약 20Å인 긴 원통으로 가정하자. 하나의 세포에 들어있는 사람의 DNA로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11
3, NGC457 등 6개의 보석 같은 성단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다. 또 알파와 베타별을 이어 같은
거리
만큼 서쪽으로 연장한 장소에는 이 별자리 속에서 제일 큰 성단도 찾을 수 있다.다시 델타별로 돌아와 다음은 은하수를 따라 동남쪽으로 조금만 내려가 보자. 델타와 엡실론별을 밑변으로 하는 이등변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11
교과서에 깔때기를 이용한 발문과 사진은 본 수업의 목적에 도달하는 것과는 너무
거리
가 멀다.깔때기를 사용해 잉크나 색소를 떨어뜨리는 실험은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밀도와 확산이라는 개념을 복합적으로 관련시킬 때 유용하다. 또 단순히 물위에 잉크를 떨어뜨렸을 때 관찰할 수 있는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10
5명의 대원은 트럭 한대에 몸을 실고 투그리크 베이스캠프로부터 남서쪽으로 2시간 30분
거리
에 위치한 자민혼드를 탐사했다. 그곳에서는 부서진 많은 공룡알 파편들이 발견됐다. 조심스럽게 파편들을 걷어내자 이미 풍화돼 반쯤 깎여 나간 지름이 약 60cm인 공룡알 둥지가 나타났다. 세어보니 12개의 ... ...
우리 두뇌 담긴 이동전화기 완성
과학동아
l
199910
전화, 전화선을 타고 흐르는 인터넷 정보, 위성을 이용한 위성통신, 방송 등등. 그야말로
거리
가 떨어진 두 통신자 사이에 정보가 교환되는 모든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통신이 가능하고 어떻게 하면 가장 효율적인 통신이 될 것인가를 밤낮 없이 연구하는 사람들이다.기술만이 희망이다핸드폰 안에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10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가능하다.눈과 눈 사이는 좁아지고 있다. 한국인의 눈동자 간
거리
는 평균 62-65mm 정도였는데, 점차 이보다 좁은 미간을 지닌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이에 비해 코는 2mm 정도가 길어졌다. 사실 한국인의 코는 예전부터 계속 길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예를 들어 6천년 전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10
카미가제 특공대가 태평양의 하와이를 습격한 것과 정 반대의 상황이랄까. 이들 간의
거리
는 불과 약 1천3백km 정도다. 그렇다면 1천3백만년 후부터 이 거대한 ‘해저잠수함’이 일본과 부딪히게 된다. 일본은 물론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에 일대 지각 변동을 일으킬 것이 당연하다. 예를 들어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