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07
달자동차를 이용해 드라이브도 즐겼다. 이제 더 이상 달 착륙은 미국 국민들에게는 뉴스
거리
도 되지 못했다. 결국 중단 여론에 밀려 20호까지 준비되었던 새턴V 로켓과 아폴로우주선은 폐기될 운명에 놓였다. 이후 NASA는 이 장비들을 개조해 우주정거장인 스카이랩계획을 추진한다.러시아는 또 다른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
과학동아
l
199907
베가는 직녀별이라 부르며, 서로 16광년이나 멀리 떨어져 있다. 지구에서 두 별까지의
거리
는 알타이르까지가 약 17광년, 베가까지가 약 25광년이다.알타이르는 베가와 반대로 '날아오르는 독수리'를 뜻하며 21개의1등성 가운데 12번째로 밝은 0.77등급별이다. 하지만 별자리 속의 별들을 연결해 보면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07
무게는 83.6kg.1957년 10월 4일 오후 10시 28분(모스크바 시간) A로켓 엔진이 꿈틀
거리
더니 눈 깜짝할 사이에 우주로 날아올랐다. 그리고 5분 후 인간이 만든 최초의 별은 지구 위 2백28-9백 47km에 자리를 잡고 최초의 메시지를 지구로 보내왔다. “비프, 비프.” 우주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첫 신호였다 ... ...
원격수술로봇
과학동아
l
199907
전달하는 원격시스템을 개발했고, 일본의 도쿄대 공학부에서는 1997년 10월 약7백km 떨어진
거리
를 두고 동물의 혈관을 봉합하는 수술을 시연했다. 또 미국의 MIT 대학에서는 복강경 수술을 위한 원격시스템이 개발돼 봉합용 실을 잡고 자르는 동작을 보여줬다.로봇과 사람의 공존공생 시대KAIST의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07
것을 ‘인간탄환’이라고 하지 않고, ‘우주여행’이라니.” 가족들과 함께 깔깔
거리
는 동안 어느덧 초록의 화원과 풀장이 마련된 아르테미스 루나시티(lunar city)호텔에 도착한다.달기지 건설 5단계일본과학기술청이 펴낸 ‘2025년의 과학기술’이란 예측보고서에 따르면 실현되기 어려운 과제로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07
하늘에서는 두별의 간격을 다섯배하면 북두칠성에 이르는데, 운주사의 와불은 정확히 이
거리
와 일치하지는 않는다.전남대 박물관의 황호균 연구사는 이 칠성석을 가리켜 우리 민족의 문화적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적이라고 말한다. 그것은 칠성신앙이라는 종교적인 의미와 정확한 ... ...
③ 일방적 승리는 없다 절충이 있을 뿐
과학동아
l
199907
전투에 밤낮으로 임하고 있는 군인들에게 위생관념이 있을 수 없다. 각종 병균이 득실
거리
는 불결한 환경에 무방비하게 노출된 셈이다. 이들 중 누군가 바이러스에 감염된다면 질병은 군인과 민간인 모두에게 급속히 전염될 수 있다.사건이 발생한지 며칠 후 남아프리카공화국 보건부의 카메론 ... ...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07
레이저의 전신인 셈이다. 타운스가 개발한 메이저는 증폭기능이 뛰어났기 때문에 장
거리
통신과 우주에서 오는 마이크로파를 포착하는데 이용됐다. 같은 시기에 러시아 레베데프물리학연구소에 근무하던 니콜라이 바소프(1922-)와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1916-)도 암모니아 메이저를 개발하는데 ... ...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
과학동아
l
199907
초가의 색깔과 조화를 이루기 때문이다.흘레붙는 개들의 비애가끔씩 동네의 골목이나
거리
에서 민망하게 흘레붙는 개들을 볼 수 있다. 쫓아버리고 얼른 떼어놓으려도 이들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개들이 음탕함의 대표가 됐고 욕설이나 비속어에는 개자가 붙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06
PSR B1257+12는 3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지만, 이들 행성들은 모두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
보다 훨씬 가까이 있고, 펄사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방출되고 있으므로 행성은 매우 뜨거울 것으로 예상돼 생명체가 살고 있으리라고 기대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이 행성계를 발견한 펜실베이니어 대학의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