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과학기술 이끌어갈 '알파우먼' 삼총사
과학동아
l
200801
폭발현장의 잔류물에서 탄소동위원소를 분석해 어디에서 제조됐는지 밝힐 수 있다. 정
박사
는 “영원히 미제로 남는 범죄처럼 풀기 어려운 과제도 많지만 끈기를 갖고 덤비면 못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 ...
생명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과학동아
l
200801
박물관의 다양한 소장품을 보여주고, 같이 화석을 발굴할 기회도 제공한다. 세르게이
박사
도 어렸을 때 러시아 자연사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고생물학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회고했다. 이번 러시아 자연사박물관전에서도 고생물학의 연구과정을 알 수 있는 ‘어린이 고생물학자 체험교실’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01
합성하려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이탈리아 로마 제3대학의 피어 루이지 교수는 벤터
박사
의 연구가 생명체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유전체를 그저 조립할 뿐이라고 비판하며, 세포막이나 세포질 같은 세포의 모든 구성 요소까지 모두 화학적인 방법으로 합성하는 ‘아래에서 위로’(bottom-up)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01
생명현상을 재현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1995년 스위스 폴리머 연구소의 피어 루이지
박사
팀은 세계 최초로 리포솜 안에서 DNA를 합성하는데 성공하며 인공 세포막의 가능성을 열었다. 그리고 2007년 6월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렸던 제3차 세계합성생물학회에서 이탈리아 로마 제3대학의 지오반니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01
활발히 경쟁할수록 병원균의 침입에 강해지기 때문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장영효
박사
는 “생균제 사료는 장 속 미생물의 균형을 맞춰 장 건강을 지킨다”며 “생균제 사료는 화학약품이 안 들어있어 내성도 안 생긴다”고 말했다.혐기성 미생물은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 질소산화물로 에너지를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01
매력적인 특성을 가진 물질이라면 더욱 그렇다. 1991년 일본전기회사(NEC)의 이지마 스미오
박사
가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한 뒤 많은 물리학자들이 탄소가 아닌 다른 원소로 나노튜브를 만드는 시도를 했다. 그리고 3년 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진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01
올 것이다.강호정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영국 웨일스대에서 습지생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학자에게 연구능력 못지않게 글쓰기 능력이 중요하다는 신념으로 ‘과학작문 특강’ ‘영어논문작성법 특강’등 활발한 강의를 ... ...
콜록콜록, 기침약 말고 꿀 주세요
과학동아
l
200801
소아과 관련 의학저널(Archive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Medicine) 12월호에 발표했다. 폴
박사
팀은 밤에 기침하는 2~18세의 어린이와 청소년 105명을 세 그룹으로 나눠 각각 꿀, 꿀 향이 나는 기침약, 위약을 줬다. 그 결과 꿀을 먹은 그룹이 감기약이나 위약을 먹은 그룹보다 기침을 덜하고 잠도 더 잘 ...
운동 유전자는 천연 우울증 치료제
과학동아
l
200801
같은 효과가 나타났다. 반대로 VGF 유전자를 차단하자 쥐에서 우울증 증상이 생겼다. 듀먼
박사
는 “운동이 뇌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적인 증거”라며 “VGF 유전자를 표적으로 우울증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01
비율로 모음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반면 모래쥐 링컨은 정답률이 절반 이하였다. 시넛
박사
는 “특정한 모음이 다른 모음보다 더 구별하기 쉬운 까닭은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높낮이나 위치가 변하고, 모음 소리의 진동수가 각기 다르기 때문”이라며 “모래쥐를 연구하면 인간이 언어를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