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01
1,600t 그리스 신화의 여신〈Galateia〉에서 따온 이름 1950~52년 코펜하겐 대학의 안톤 브룬
박사
를 단장으로 하는 광범위한 심해생물탐사(深海生物探査)에 이용되었다에쿠아도르의 서해안에서 서쪽으로 약 1000km 떨어진 동남 태평양 상에 적도를 끼고 점재(點在)하는 화산도군(火山島群)〈진화론의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01
데이비드 발티보어
박사
가 암 바이러스와 유전자의 관련성을, 1980년에는 조지 스넬
박사
가 조직에 적합한 항원을 발견하는 방법을 밝혀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습니다. 블루오션을 개척해나가는 쥐 연구기관인 만큼 획기적인 연구 성과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Q3 잭슨연구소는 최근 어떤 연구에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01
유학 시절 마이크로미터 규모의 구동기관을 발명해 마이크로전기기계시스템(MEMS) 분야의
박사
학위를 받았다. MEMS는 반도체공정을 기반으로 초소형 정밀기계를 만드는 기술로 손톱 크기의 하드디스크나 머리카락 절반 두께의 기어, 초고밀도 집적회로를 제작하는 데 이용된다.당시 MEMS 기술은 커다란 ... ...
주변 은하 공격하는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200801
지난 12월 17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센터 댄 에반스
박사
팀이 두 은하로 구성된 천체 3C321에서 더 큰 은하의 블랙홀에서 나온 고에너지 입자들이 작은 은하를 강타하는 장면을 처음 포착했다고 밝혔다. NASA의 허블우주망원경, 찬드라 X선망원경, 스피처 우주망원경,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01
위해 만든 이론 12개의 기본입자와그 힘을 매개하는 입자를 설정하고 있다 작고한 이휘소
박사
도 표준이론 설립에 큰 공헌을 했다태양계 형성 직후 만들어진 지름 수 km크기의 작은 천체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소행성이 만들어졌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많으며 1km 이상인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01
물고기가 기름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얼마나 많이 받았는지 알 수 있죠.”정
박사
의 말이다. 쓸개 시료 29개를 채취하자 어느덧 주위가 깜깜해졌다.이날 과학자들이 만리포를 찾은 까닭은 단순히 기름 오염현장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었다. 굳은 사명감이 없었다면 어촌계의 전화번호를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01
70~80개의 염기로 이뤄진 tRNA가 집중 표적이 됐다.
박사
학위를 마치고 MIT 생물학과에
박사
후 연구원으로 들어간 김 교수도 대망을 품고 이 경쟁에 뛰어들었다. 그런데 단백질과는 달리 tRNA는 결정 자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많은 과학자들의 숱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tRNA를 결정으로 만드는데 번번이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01
넘어 다양한 유전체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해 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하튼 벤터
박사
의 합성유전체와 반(半)합성세포 연구가 인간이 새로운 세포를 합성하는 ‘생명 2.0’ 시대를 한층 앞당기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트랜스포존*염색체상의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 ...
10년 후, 당신의 명품인생을 위하여!
과학동아
l
200801
기자는 “19살 때 ‘10년 뒤를 생각하라’는 대학교수의 조언을 듣고 진로를 설계한 이
박사
는 30세에 유네스코 소속 해양 전문가가 됐다”며 “이 책의 독자들도 10년 뒤를 생각하며 자신에게 맞는 전공 지식과 경력을 쌓아야 진정한 독서를 한 셈”이라고 말했다.과학동아 독자를 위한 팁 하나. ‘1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01
독도라는 이름이 붙은 해양물리현상도 등장했다. 독도 주변의 해류를 연구 중인 이재학
박사
는 해저 울릉분지에서 북쪽으로 최대시속 1km로 흐르는 심층류를 ‘독도심층류’라고 명명했다. 이 해류의 성분을 분석하면 울릉분지 남쪽에 위치한 해양폐기물 투기장에서 어떤 물질이 유출되는지 알 수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