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사람들이 새로운 심장이나 간, 신장 이식을 기다리다가 사망해요. 돼지 장기는 사람이랑
크기
가 비슷하지만 돼지 장기를 그대로 사람에게 이용할 수는 없어요. 과학자들은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해 장기 부족 문제를 돼지 장기로 해결하려고 하고 있어요. 돼지 유전자를 변형하면 사람에게 장기를 ... ...
젤라틴이 만드는 쫀득함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직접 닿지 않아 덜 차갑게 느껴진 답니다. 지방이 들어 있지 않은 셔벗은 얼음결정이
크기
때문에 질감이 거칠고, 코팅되어 있지 않으므로 훨씬 차가워요. 그만큼 더 빨리 녹는답니다.여러 가지 아이스크림을 맛보고 나니 무더위가 싹 도망가 버렸어요. 오늘 저녁 디저트는 초코시럽을 얹은 ... ...
내 LTE만 느린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LTE-A를 SK텔레콤이 6월 26일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 최대 다운로드 속도 150Mbps로 800MB
크기
영화 한 편을 내려 받는 데 43초면 충분하다. 가정용 유선랜(광랜)으로 다운로드 받는 데는 이보다 긴 1분 4초가 걸린다.이번 LTE-A의 상용화로 진정한 ‘4G 시대’가 열렸다. 예전 광고에서 이미 ‘4G LTE’라고 ... ...
마찰력은 제로, 속도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것이다. 밀려난 물이 다시 돌아오면 또 고압의 공기를 내보낸다.이런 공기 배관은 풀장
크기
에 따라 4~8개 설치한다. 공기 배관을 여는 위치에 따라 파도 모양과 위치가 달라진다. 하지만 이렇게 만든 파도는 1m 남짓으로 작다.2m 이상 큰 파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쓴다. 오션월드의 인공 ... ...
전자공학 - 헉, 휴대전화에 소변을…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이 연구소는 웨스트잉글랜드대와 브리스톨대가 공동으로 운영한다.자동차 배터리
크기
의 미생물 연료전지에 소변을 넣으면 박테리아가 이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전기가 발생하며, 이를 축전기에 저장한다. 연구팀은 미생물 연료전지를 정교하게 만들어 휴대폰을 충분히 충전할 수준의 전력을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차전지 공간 안에서 에너지를 저장하는 물질의
크기
를 나노 단위로 줄이고, 이 물질을 탄소로 코팅해 충·방전 속도를 높였다. 배열을 3차원 구조로 바꿔 용량 문제도 해결했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 시간을 5배 늘린 리튬이차전지 원천기술인 실리콘 나노튜브를 ... ...
실버사회 지켜줄 아이언맨 군단 온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있다.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 외에도, 고출력 고효율의 구동기술과 작고 가벼운
크기
로도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기술 또한 근력지원 로봇슈트를 만드는 데 필수다. 슈트 형태로 만들기 위해선 인간형 로봇을 만드는 것과는 또 다른 공간 설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용하는 사람의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지나치게 많이 달려 있으며 가끔 붉은빛을 낸다. 이 또한 내가 속한 진화선의 특징이다.
크기
는 이명의 옆에 있는 산봉우리와 비슷했다. 하지만 그 원주민들이 가시광선에 의존하는지 알 도리가 없었기 때문에 내가 어떻게 비쳤는지는 모르겠다.나는 작은 기계팔 여덟 개를 뻗어서 이명과 물리적으로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감염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8명이 사망했다(7월 10일 자정 기준).작은소참진드기는 1~2mm
크기
의 진드기로 전국에 고르게 분포한다. 하지만 이 중 SFTS 바이러스를 보균한 진드기는 0.5%이하로 파악됐다. 보건복지부는 “바이러스를 보유한 진드기에게 물리더라도 바이러스의 보균량과 개인의 면역상태에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크기
가 아주 작은 박테리아보다 큰 경우도 있다. 최근 밝혀진 미미바이러스의 유전체
크기
는 세균인 마이코박테리아의 2배가 넘는다.세포퇴화설은 이런 ‘정황 증거’를 바탕으로 탄생했다. 즉 정상적인 세포가 퇴화해서 세포라는 옷을 벗고 유전체와 껍질 단백질만 남은 바이러스로 바뀌었다는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