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화 한 편을 5초 만에 총알 전송?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전달할 수 있는 장치로, 교통카드 같은 곳에 들어 있답니다. 연구팀이 개발한 칩은 크기가 4x6.6㎜ 정도로 손톱보다도 작지만, 1초에 10Gb 정도의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낼 수 있을 만큼 전송능력이 뛰어나요. 4GB짜리 고화질 영화 한 편을 내려 받는 데4~5초 밖에 안 걸린답니다. 사용하는 전력도 40㎽로 매우 ... ...
- [생활] 데카르트가 들려주는 무지개 이야기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반사가 일어날 때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햇빛의 고도와 관찰자의 위치, 물방울의 크기와 퍼진 정도에 따라 무지개의 모습은 다양하게 변하죠.저는 1637년부터 무지개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먼저 무지개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하는 미세한 물방울 하나를 거대하게 ...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새로운 위상 공간인 R⁴에 존재하는 원환체 중 하나로, 그 표면이 크기가 다양한 크기의 삼각형으로 쪼개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독일의 수학자 콘라드 폴티아는 2003년 자신이 개발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클리포드 원환체를 아래 전개도와 같이 물결무늬의 단위 도형으로 쪼갰다. 그런 다음, ... ...
- [환상 퍼즐여행2] 종이와 연필이 만든 환상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하고 그대로 내빼버렸다고. 정말 나쁜 녀석이지? 만약 너희가 내 체스판을 원래대로 8×8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만들어 놓는다면, 페이퍼맨이 어디 있는지 알려 주지.”선생님을 납치한 건 공포의 대왕 테스티?폴 일행이 체스판을 원상태로 돌려 주자 펜슬맨은 뛸 듯이 기뻐하며 말했다.“날 따라와! ... ...
- 3D프린터로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배터리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배터리를 완성했다. 전기를 생산하는 기초 원리는 요즘 쓰는 리튬이온전지와 똑같지만, 크기가 모래알만큼 작아졌다는 것이 특징이다.셴 딜론 연구원은 “상용화된 배터리와 비교했을 해도 충·방전 능력, 에너지 밀도 모두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3D프린터로 만든 초소형 배터리는 곤충을 ... ...
- 피 조금만 뽑아도 되는 초민감 센서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수 있기 때문에 이전까지는 검출할 수 없던 미량의 물질도 찾아낼 수 있다. 바이오센서 크기 전체가 작아지는 건 덤이다. 탄소나노튜브, 실리콘 나노와이어 같이 아주 작은 물질들이 나노바이오센서에 쓰인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체내에서 암과 관련한 물질을 1fg/mL(fg는 펨토그램으로 1000조 ... ...
- 봄이 오면 산에 들에 불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규모가 커서 각각 16~17시간 만에야 불길이 잡혔어요. 울산은 50헥타르 산이 타버렸는데 이 크기는 가로, 세로 100m인 운동장 50개에 해당한답니다. 또 포항에서는 산 아래 있는 주택 56채가 모두 탄 데다 사망자까지 나왔어요. 포항에서 일어난 불은 중학생의 불장난이 원인이라 안타까움을 더했답니다 ...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모양의 공기 흐름이 생긴 것이다.이후 미국 생명공학자 마이클 디킨슨 교수는 나방보다 크기는 작지만 더 큰 폭으로 날갯짓하는 초파리 로봇을 만들어 실험했다. 그랬더니 이번에는 날개 뒤로 도넛 모양의 흔적이 주기적으로 떨어져 나왔다. 대체 이런 흔적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새나 곤충이 날기 ... ...
- 똑똑한 인공 홍채가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홍채를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지금까지 개발한 인공 홍채는 전기가 있어야만 동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별도로 전원을 들고 다녀야 했지요. 이 교수팀은 빛을 받으면 분자 구조가 바뀌는 ‘광학 이성질체’를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답니다. 광학 이성질체가 포함된 염료를 비닐 위에 얇게 ... ...
- [매스미디어] 슈퍼맨, 실제로 가능할까? 맨 오브 스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질량은 물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양을 나타낸다. 반면 무게는 물체에 가해지는 중력의 크기를 말한다. 고유한 물체는 어떤 행성에서도 그 질량이 변하지 않는다. 슈퍼맨을 구성하는 본질의 양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크립톤 행성이든 지구든 그 질량은 같다. 하지만 무게는 그가 서 있는 행성이 ... ...
이전2862872882892902912922932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