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가 들썩 들썩~, 지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중심별을 향하는 쪽은 매우 뜨겁고 반대편은 꽁꽁 얼어 있다.생명체 거주 예상 지역 |
학자
들은 ‘명암 경계선’이라 불리는 양지와 음지의 중간지대에 생명체가 살것으로 보고 있다. 물도 존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특이사항 | 인간이 서서 똑바로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중력이 존재한다 ... ...
거만한 자세가 자신감을 높여 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0호
자신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거든요.미국 하버드대학교 사회심리
학자
에이미 커디 교수는 42명의 사람들에게 자신감에 넘치는 자세와 자신감이 없는 자세를 하고 1분 동안 있게 한 후,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를 쟀어요. 자신감이 넘치는 자세는 책상에 발을 올리고 의자에 몸을 ... ...
슈퍼스타 어과동 동물 오디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미칠까를 곰곰이 생각해 보세요. 그렇게 실천하다 보면 여러분도 어느 새 어린이 생물
학자
가 되어 있을 거예요!" 장이권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네! 지금까지 ‘어린이과학동아’ 표지모델 선발 오디션을 통해 아주 특이한 동물들을 만나 보았는데요, 특 아카데미의 심사 결과는 이렇습니다. ... ...
콩심은 데 콩난다! 우리 가족이 닮은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유전정보를 담고 있지 않아서 ‘정크 DNA’라고 불러. 쓰레기 DNA라는 뜻이지.과
학자
들은 이런 쓰레기 DNA가 진화 과정에서 쓸모없어진 DNA이거나, 아직 어떤 기능을 하는지 모르는 꼭 필요한 DNA일 거라고 추측을 하고 있어. 실제로 아직 쓰레기 DNA가 왜 존재하는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전혀 밝혀진 것이 ... ...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이탈리아에서는 여름 철새인 제비들이 계속 줄어들고 있어요. 그래서 최근 이탈리아 과
학자
들은 제비들에게 위성항법장치(GPS)를 달아 온난화가 철새들의 생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로 했답니다. 200마리의 제비의 몸 안에 무게가 1g도 안 되는 작은 마이크로칩을 넣고 2년 동안 생활하게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주파수가 2~3khz인 소리에 특히 예민하다. 이 주파수는 소프라노 가수의 목소리 정도다.
학자
들은 비명처럼 높은 소리를 위험 신호로 인식할 수 있게 사람의 청각 시스템이 진화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또 포식자의 움직임을 잘 읽기 위해 살금살금 걸어오는 소리나, 늑대나 여우 등의 우는 ... ...
변신의 달인. 비타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비타민 B1이야. 쌀눈등에 많이 들어 있고 ‘티아민’이라고도 불리지. 1910년 일본인 과
학자
스즈키 우메타로 박사가 세계 최초로 분리해 낸 비타민으로, 올해는내가 정확히 100살을 맞은 의미 있는 해란다. 100년 동안 사람들의 삶과 건강을 바꿔 놓은 비타민의 역사는 바로 나로부터 시작됐다는사실도 ... ...
요리조리 꼼꼼 자연을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산업이 발달하던 200년 전, 사람들은 그 이전보다 더욱더 자연을 동경하게 됐어요. 과
학자
처럼 자연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탐구한 풍경화는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태어난 것이 아닐까요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곰팡이로 나누다니…. 모든 곰팡이는 지구에 꼭 필요한 좋은 곰팡이일 텐데 말이야.과
학자
들은 지구에 곰팡이가 총 150만 종 이상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하지만 밝혀진 곰팡이는 곰팡이의 5% 정도인 8만 종에 불과하다고 해. 아직 우리가 알아채 주기를 기다리는 곰팡이들이 많은 거지. 새로 ... ...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대멸종은 생물 역사에서 공룡의 멸종을 포함해 다섯 번 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인류
학자
리처드 리키는 인간 때문에 생명이 사라진 미래를 ‘6번째 대멸종’이라고 불렀다. 우리는 6번째 대멸종을 피할 수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SOS! 우리도 지구에서 살고 싶다Part 1. 살아남은 50%의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