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과 수염을 함께 기르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병을 일으킬 만큼 위험한 수치였다.연구팀이 이런 실험을 하게 된 동기는 “동료 미생물
학자
들이 수염을 제대로 깎지 않아, 위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한다.즐거우면 아픈 것도 잊는다?!천식을 치료하는 데 심리적인 요인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히려고 천식 환자를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의사도 여러 방향이 있어. 뇌과학을 연구해서 공학과 융합하거나 CSI에 나오는 법의
학자
가 될 수도 있어. 네 꿈을 어떻게 구체화시켜 하나씩 실현해 갈지는 네 몫이란다.” 상담 선생님의 조언 1. 바이오포럼 활동을 기반으로 지역 생태보호 봉사단을 만들어본다. 봉사단이 자리잡히면 후배들을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시험관 아기 시술법’을 개발한 영국 케임브리지대 생식생리
학자
로버트 에드워즈 명예교수(현재 85세)가 수상했다. 공동연구자였던 패트릭 스텝토 교수는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수상에서 제외됐다.스웨덴 노벨상 위원회는 에드워즈 박사의 업적을 이렇게 평가했다. ... ...
[지구과학] 지자기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자성을 잃는 온도를 그 물질의 퀴리 온도라고 한다. 명칭은 발견자인 프랑스의 물리
학자
피에르 퀴리의 이름에서 딴 것이다. 자석과 같은 강자성체를 퀴리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자석의 성질을 잃는다. 이렇게 강자성체가 강자성 상태에서 상자성(常磁性, paramagnetism) 상태로 변하거나 그 반대로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일이다. 그래서 오랜 기간 동안 미적분 발견의 주인공을 두고 영국과 독일이 대립했고,
학자
들 사이에서도 많은 논란이 있었다.미적분을 먼저 발견하고 역학에 이용한 사람은 뉴턴이지만 불행히도 뉴턴은 이를 발표하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늦게 발표했지만 발표가 앞선 라이프니츠와 공방을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불리하다고 알려지면서 1893년에야 지금의 위치인 60피트 6인치에 놓이게 됐다. 물리
학자
들은 공에 걸린 회전력과 중력이 가장 이상적인 조화를 이루는 지점이 바로 이 거리라고 설명한다. 루 사이의 거리는 왜 27.432m?1845년 미국의 알렉산더 카트라이트는 처음으로 야구 규칙을 정했다. 그는 본루에서 ... ...
부정적인 허물 벗어버리는 마음 웰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식욕이 회복되고 3~4주 후에는 증상이 거의 사라진다.상담치료는 오스트리아 정신분석
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토대로 환자의 사회적 지위와 가정환경, 인생 등을 고려해 진행한다. 정신분석 전문가들은 환자가 어떤 환경에서 자랐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 파악하면 현재 정신질환의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박사는 1940년부터 62년 동안 이뤄진 체벌에 관한 연구 88개를 분석한 논문을 미국 심리
학자
가 발행하는 ‘심리학 회보’에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게르쇼프 박사는 부모의 체벌을 받고 자란 아이의 행동 특성에 대해 설명했다. 논문에 따르면 체벌은긍정적인 면에서 효과가 거의 없는 반면 부정적인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경우가 21세기 들어 늘어나고 있다”며 “여러 연구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고 국내 수
학자
들이 세계 주요 문제에 계속 도전한다면 곧 필즈상 수상이 가능한 수준의 업적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그런데 놀랍게도 후추나방은 검정 색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딱 하나밖에 없다.영국 생물
학자
버나드 케틀웰의 주장에 따르면 회색이었던 후추나방은 살아남기 위해 몸 색깔이 검어지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산업혁명 때 환경이 급격히 오염되면서 나무껍질에서 자라는 하얀 이끼가 죽거나 검은 오염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