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소수점 이하를 다루는 정밀성보다는 적절한 범위 안에서 재빨리 행동하는 실용성이 공
학자
에게 더 필요한 거죠.”실리콘밸리에 도전하다전자산업, 특히 반도체 산업이 각광받으면서 반도체 디자이너는 공대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분야다. 집적시스템설계 연구실에는 현재 20명 정도의 석박사 과정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촉매작용과 같은 다량의 산소 소비를 일으킬 수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어느
학자
는 각 유기분자 하나가 촉매반응처럼 작용해 근육 내에 내재하는 여러 물질의 산화를 촉진하기 때문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크렙스에게 있어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대사경로의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대조적이다. 과연 제품의 개성이 중요할까, 사용자의 편의성이 중요할까. 행동심리
학자
인 도널드 노먼은 “사람들은 기술에 적응하지만 사람들이 잘 적응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기술을 밀어 부치면 곤란하다”고 말한 바 있다.② TV 달린 냉장고TV를 보며 식사하는 가정이 많다는 사실을 관찰한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시도는 10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의 생물
학자
이자 수
학자
, 고전문헌
학자
였던 다르시 톰슨(D'Arcy Thompson)은 1917년 ‘On Growth and Form(성장과 형태에 관하여)’란 제목의 방대한 책을 펴냈는데 이 가운데 한 장(章)을 형태의 변형에 할애했다.여기서 톰슨은 어떤 과(科)나 목(目)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바꿔야한다는 뜻이다. 이번 제도 변경에는 20년 넘게 우측보행을 주장해 온 교통
학자
한덕수박사의 공이 컸다고 한다. 무엇이 사람들이 걷는 방향을 바꾸는 결단을 내리게 했을까.‘자동차라면 모를까 사람이 걷는 것까지 좌우를 지정할 필요가 있을까?’7월 1일부터 전면 실시한 우측보행 제도에 ... ...
새가 ‘동성애’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그런데 조류만큼은 그 설명이 가능해질 것 같다. 호주의 생태
학자
들이 동성애는 새끼를 돌보는 태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저널 ‘동물행동’ 7월 5일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호주 뉴캐슬대의 죠프 맥팔랜드 교수팀은 동성애가 발견됐다고 기록된 새 93개 종을 관찰했다. 그 결과 ... ...
100살 노인 유전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앞으로 추가 연구를 할 계획이다.한편 ‘뉴욕타임즈’ 7월 8일자에는 미국 듀크대 유전
학자
인 데이비드 골드스타인 박사가 “이번 장수 유전자 연구는 명백한 오류”라고 반박한 내용이 실렸다. 이에 대해 펄스 박사는 “실험하는 중간에 오류가 발견되긴 했지만 전체 결과에 큰 영향은 끼치지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 즉 UX라는 개념이 나오면서 이런 간극을 단번에 해소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공
학자
가 추구하는 사용자경험이나, 인지과학이나 디자이너가 추구하는 사용자경험이 모두 같은 것이라는 이해가 이뤄진 것이다. 여러 전문가들은 “사용자경험을 통해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소통할 수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악당 과
학자
가 사람의 생각과 의지를 조종해 좀비를 만든다고 나오지만, 실제로는많은 과
학자
들이 난치병을 치료하고 인류의 생활을 편하게 하는 목적으로 뇌를 조종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결국 5가지 방법으로 영화나 소설에서 등장하는 좀비를 만들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허무맹랑한 ... ...
말라리아 없는 모기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있다. 매년 말라리에감염되는 사람은 2억~3억 명에 달한다.최근 미국 애리조나대의 곤충
학자
마이클 리엘과 그의 연구팀은 인간에게 말라리아를 옮기지 않는 모기를 만들어내고 세계적인 생물학저널인 ‘플로스 패서전’ 7월호를 통해 발표했다.연구팀은 모기의 유전자를 변형해 말라리아의 원인이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