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베토벤 음악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멘첼이 베토벤을 위해 만들었죠. 나팔형 보청기는 관을 통과하는 소리를 모아 다른 곳으로 소리가 퍼지거나 사라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덕분에 원래보다 약 10-15㏈(데시벨) 크게 들리는 효과가 있지요. 한림대학교 언어청각학부 진인기 교수는 “나팔형 보청기는 원리와 형태로 볼 때 ... ...
- [똥손 수학 체험실] 달콤하고 동그란 나의 핫케이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점들이 모여서 이뤄진 도형이에요. 길쭉하거나 찌그러진 곳 없이 어느 쪽에서 보아도 똑같이 동그란 모양이어야 원이라고 할 수 있지요. 원의 중심에서 원의 둘레 위의 한 점을 잇는 선분, 즉 반지름은 둘레 위 어느 점에서 선분을 긋더라도 그 길이가 항상 같아요. 컴퍼스를 ... ...
- 경시대회에 개막식이 있다고?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투르크메니스탄 등 다양했어요. 수학이라는 이름 하나로 지구 곳곳에서 모여든 국가대표들은 개막식이 끝나고 뒤섞여 쉴 새 없이 기념사진을 찍었답니다.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도 이번 대회에 참가했습니다. 그중 이반 보르트노브스키, 블라디미르 컵, ... ...
-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불리는 미적분은 무선통신 기기 설계, 로켓 발사, 인공지능, 감염병 예측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된다. 그중 미분은 변화하는 양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세상의 모든 것이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하므로 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미분이 꼭 필요하다. 이번 시간에는 미분을 탐구해보자 ...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시작하는 이 교수의 감회를 물었다. “2000년대 초반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을 때, 그곳 연구자들로부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프로젝트에 관한 이야기를 처음 들었습니다. 그때는 ‘쟤네 SF소설 쓰나?’ 하고 생각했는데, 20년이 지난 지금 현실이 돼 제가 그 망원경으로 연구를 하게 됐군요. 기대가 ... ...
- 항저우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 E스포츠, 국가대표 훈련 어떻게 받을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확인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장 박사는 “게임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어느 곳을 보는가보다 빠르게 시선을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타(단체 공격) 시 시선이 전환되는 패턴을 확인해 개인별 주의 집중 영역을 파악하고, 빠르게 시선을 전환하는 훈련을 한다”고 설명했다. 기자의 ... ...
- [최신 이슈] 신약 개발에 불어온 새 바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전령이라고 설명했다. mRNA 백신은 이 전령을 차에 태워 체내 원하는 곳으로 전달하는 식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체내에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mRNA를 지질나노입자(LNPLipid Nano Particle)로 만든 전달체에 넣어 세포까지 전달한다. 그러면 세포는 mRNA에 기록된 바이러스의 ... ...
- [과동키즈] 과학자, 작가, 예술가의 공통점은 ? 가치관에 대한 끝없는 고민이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적재적소에 쓰려면 초과 생산된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필요한 곳까지 운반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기술이 필수입니다. 그 대표적 저장 장치인 리튬이온전지는 오래전부터 휴대폰, 노트북 등에 적용돼왔고,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이기도 합니다. 저는 이 리튬이온전지 기술의 ... ...
- 레고시티와 함께하는 소방 안전 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강조했어요. 실험이 끝난 뒤에는 레고 시티 제품을 활용해 소방관이 직접 가기 어려운 곳에도 갈 수 있는 소방 드론과 헬기 등 소방 장비들의 역할을 알아봤습니다. 교수님은 레고 시티 소방차를 살피고는 “기름에 붙은 불은 물을 뿌리면 더 확산될 위험이 있어 공기를 차단해 불을 끄는 폼(거품)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손끝으로 읽는 점자책을 만들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물체의 모양(테두리나 모서리), 오목함과 볼록함을 감지할 수 있어요. 피부의 깊숙한 곳에도 많은 감각 수용체들이 있어요. ‘루피니 소체’는 늘어나거나 쥐어짜는 감각을 감지할 수 있고, 따뜻함을 느끼게 해줘요. 반면 ‘크라우제 소체’는 차갑고 낮은 온도를 알려주지요. 피부 가장 깊숙이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