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액체일까, 고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끈기는 고양이를 좋아하는 마음이 아니면 쉽사리 갖기 어렵다. 아마도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랑하는 고양이의 말을 알아듣고 싶은 마음이 쇠츠 교수의 원동력 아니었을까. 지금도 세계에서는 수많은 연구자들이 고양이를 향한 애정으로 연구를 지속하고 있을 것이다 ... ...
- [과동키즈] 과학자, 작가, 예술가의 공통점은 ? 가치관에 대한 끝없는 고민이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적재적소에 쓰려면 초과 생산된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필요한 곳까지 운반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기술이 필수입니다. 그 대표적 저장 장치인 리튬이온전지는 오래전부터 휴대폰, 노트북 등에 적용돼왔고,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이기도 합니다. 저는 이 리튬이온전지 기술의 ... ...
- [숫자로 보는 뉴스] 농게 눈 닮았네! 360° 찍는 카메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모여 겹눈★을 이루고 있어요. 사람은 눈동자를 움직이거나 고개를 돌려야 다른 곳을 볼 수 있지만, 겹눈을 가진 농게는 여러 방향을 한 번에 볼 수 있지요. 그 덕분에 물속에서도, 물 밖에서도 빠르게 주위를 살펴 살아남을 수 있어요. 이런 농게의 눈을 본떠 만든 동그란 공 모양의 카메라는모든 ... ...
- [똥손 수학 체험실] 달콤하고 동그란 나의 핫케이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점들이 모여서 이뤄진 도형이에요. 길쭉하거나 찌그러진 곳 없이 어느 쪽에서 보아도 똑같이 동그란 모양이어야 원이라고 할 수 있지요. 원의 중심에서 원의 둘레 위의 한 점을 잇는 선분, 즉 반지름은 둘레 위 어느 점에서 선분을 긋더라도 그 길이가 항상 같아요. 컴퍼스를 ... ...
-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불리는 미적분은 무선통신 기기 설계, 로켓 발사, 인공지능, 감염병 예측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된다. 그중 미분은 변화하는 양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세상의 모든 것이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하므로 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미분이 꼭 필요하다. 이번 시간에는 미분을 탐구해보자 ...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공개한 제임스 웹 이미지인 SMACS 0723 은하단이다. SMACS 0723 은하단은 약 40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은하단인데, 이미지를 살펴보면 매우 붉은 원호 모양의 은하가 많이 보인다. 이 은하들은 은하단보다 훨씬 멀리 있는 초기우주의 은하들로, 원호 모양으로 휘어져 보이는 이유는 중력렌즈 효과 ... ...
- [최신 이슈] 숲에서 만나요, 포레스트 강원...강원세계산림엑스포 2023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전체 면적의 63%가 산림이지만 강원특별자치도는 81.2%가 산림입니다. 그 어느 곳보다 산림이 주요한 지역 자원이기에,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산림은 특별한 존재죠. 또 단순히 넓은 면적의 산림을 처음부터 보유한 것이 아니라,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크고 작은 산불 등을 거치며 몇 번이고 ... ...
- [최신 이슈] 신약 개발에 불어온 새 바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전령이라고 설명했다. mRNA 백신은 이 전령을 차에 태워 체내 원하는 곳으로 전달하는 식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체내에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mRNA를 지질나노입자(LNPLipid Nano Particle)로 만든 전달체에 넣어 세포까지 전달한다. 그러면 세포는 mRNA에 기록된 바이러스의 ... ...
- [인터뷰] “인류세의 표준 지층은 캐나다의 크로포드 호수”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구성하는 34명 중 21명의 투표를 통해 정해졌다. 크로포드 호수는 매 투표마다 12곳의 후보지 가운데 가장 많은 표를 받았지만 과반을 넘기기가 어려웠다. 4월 투표에서는 두 명의 위원이 마지막에 마음을 바꿔 크로포드 호수에 투표하면서 극적으로 최종 후보지에 선정됐다. 또 다시 투표를 해야 ...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수 있었던 비결로 연구 인프라를 꼽는다. 미세공정 연구는 자외선 파장대역의 빛이 없는 곳에서 이뤄져야 한다. 스마트 팩토리 1층에 있는 나노공정실이 그런 완벽한 환경이었다. 나노공정실 창문 밖으로는 노란 빛이 새어나왔다. 공기 중에 미세먼지가 극히 적고, 온습도가 철저하게 관리되는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