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있는 화성의 ‘예제로 분화구’에 착륙했어요. 35억 년 전 물이 흘렀을 것으로 추측되는 곳이지요. 화성 화성의 지름은 약 6779km로, 지구의 반지름(6400km)보다 조금 더 큰 정도예요. 대기★가 거의 없고, 지구 질량★의 약 정도로 가벼워요. 화성에 물이 흘렀던 흔적을 발견한 이후로 화성에서 ...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공개한 제임스 웹 이미지인 SMACS 0723 은하단이다. SMACS 0723 은하단은 약 40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은하단인데, 이미지를 살펴보면 매우 붉은 원호 모양의 은하가 많이 보인다. 이 은하들은 은하단보다 훨씬 멀리 있는 초기우주의 은하들로, 원호 모양으로 휘어져 보이는 이유는 중력렌즈 효과 ... ...
- [냠냠! 어수잼] '원'은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누군가 평평한 종이 위에 점 하나를 찍었어. 그리고 그 점으로부터 얼마만큼 떨어진 곳에 점을 하나 더 찍었지. 정확히 얼마만큼이냐고? 글쎄, 5cm라고 해볼까? 그다음엔 처음에 찍은 점의 아래쪽, 오른쪽, 왼쪽에도 정확히 5cm 떨어진 거리에 점을 찍었어. 똑같은 방법으로 가운뎃점을 둘러싼 다른 ... ...
- [러셀탐구생활] 제 9장 어긋난 스승과 제자수학동아 l2023년 09호
- 교수님의 말씀도 다를 바 없어요.” 러셀은 말문이 막혔습니다. 그의 마음속 깊은 곳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말이 맞는다는 직감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 사실을 인정할 수 없었습니다. 그것은 자신의 연구에 대한 부정이었습니다. 러셀은 애써 입을 뗐습니다. “자네가 이 책에서 하고 싶은 ... ...
- [특집]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관측 1년, 우리가 알던 하늘을 바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엿보다Part2. 외계행성의 숨결을 맡다Part3. 적외선의 눈으로 태양계를 보다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Outro. 왜 우리는 제임스 웹의 이미지에 ...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성장하면서 변했을까 문제는 직접 별을 하나하나 다 구분해서 IMF를 측정할 수 있는 곳이 우리은하밖에 없다는 것이다. 우리은하를 벗어나면 그 정도로 세밀한 IMF를 파악할 수 없다. 그래서 지금까지 천문학자들은 다른 은하들도 우리은하와 비슷한 IMF를 가질 거라 가정했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은 ... ...
- [최신 이슈] 숲에서 만나요, 포레스트 강원...강원세계산림엑스포 2023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전체 면적의 63%가 산림이지만 강원특별자치도는 81.2%가 산림입니다. 그 어느 곳보다 산림이 주요한 지역 자원이기에,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산림은 특별한 존재죠. 또 단순히 넓은 면적의 산림을 처음부터 보유한 것이 아니라,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크고 작은 산불 등을 거치며 몇 번이고 ... ...
- [정대호의 ‘2039: 화성 일 년 살기’] 가지구이를 위해 떠난 화성 돌 사냥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딸이 아니냐는 소문이 돌았던 것이 생각났다. 하지만 나의 관심사는 조금 다른 곳에 있었다. 돈은 지구에서나 귀중하다. 지폐를 가지고 샐러드를 해 먹을 수 있다면 모를까, 화성에선 더 빨리, 더 다양한 식물을 키우는 게 급선무다. 그리고 이 즈음 나는 상추, 케일, 브로콜리에 질릴 대로 질려 ... ...
- 맥동하는 별로 밝혀낸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배경의 결정적 증거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이렇게 만들어지는 무수히 많은 중력파들이 우주를 가득 채우게 된다. 전세계 5곳의 PTA들은 이런 중력파 배경의 증거를 찾아냈다. 주기적인 별의 신호에 섞여 있던 잡음 펄사는 회전하는 중성자별이다. 일정한 주기의 전자기 펄스를 방출한다. 그 모습이 마치 항구의 등대가 돌아가며 빛을 ...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수 있었던 비결로 연구 인프라를 꼽는다. 미세공정 연구는 자외선 파장대역의 빛이 없는 곳에서 이뤄져야 한다. 스마트 팩토리 1층에 있는 나노공정실이 그런 완벽한 환경이었다. 나노공정실 창문 밖으로는 노란 빛이 새어나왔다. 공기 중에 미세먼지가 극히 적고, 온습도가 철저하게 관리되는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