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앨리스의 거울나라 속 거울분자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어느 방향으로 편광시키느냐에 따라 이름 앞에 각각 D나 L, +나 -, R이나 S를 붙여서
구별
한다. 우리 몸과 지구 생물을 이루는 아미노산은 모두 왼쪽으로 편광시키는 L형 거울분자다. 하지만 단당류는 대부분 D형 거울분자다.그런데 실험실에서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합성하는 단백질은 L형과 D형이 모두 ... ...
PART 1. 파랑은 없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하양이다. 각각 다른 색깔을 인지하고 이름을 붙이기에 앞서 깜깜한 밤과 환한 낮을
구별
했다는 뜻이다. 그 다음으로 나타나는 단어는 피의 색깔인 빨강과 자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노랑과 초록이었다. 고대 문헌에는 파랑이 없다놀랍게도 고대 문헌에는 파랑이라는 단어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 ...
[과학뉴스]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언제부터 어둠 속에서 물체를
구별
할 수 있었을까. 한․미 공동 연구팀이 망막 내 명암을 인지하는 간상세포가 밝은 빛을 통해 색을 인지하는 원추세포로부터 진화했다는 가설을 ‘디벨롭멘탈 셀’ 6월 20일자에 발표했다.김정웅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팀은 ... ...
[재미] 매미에게도 귀가 있을까?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결론지었습니다.동물마다 들을 수 있는 소리의 범위가 다르고, 또 소리의 방향을
구별
하는 방법이 다른 이유는 자기 몸집과 생김새, 환경에 따라 진화한 결과입니다. 우리 귀에는 시끄럽기만 한 울음소리도 매미들에게는 분명히 아름답고 로맨틱한 세레나데처럼 들릴 거예요 ... ...
[Tech & Fun] ‘CSI: 과학수사대’와 ‘알몸 절도 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3D 얼굴 모형을 재현하는 데 성공해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얼굴을
구별
하는 데 중요한 부위들, 예컨대 눈썹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 마커 등을 상세히 밝혔습니다. 지난해에는 홍콩의 비영리단체 홍콩클린업이 길거리에 버려진 담배꽁초나 침으로부터 DNA를 추출해 얼굴을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두 가지 값으로 바뀐다. RG축(a*)에 따라 빨강과 초록, BY축(b*)에 따라 노랑과 파랑을
구별
하는 것이다.이 세 값을 구 모양의 스펙트럼으로 나타낼 수 있다. 현재 조명이나 스크린 등을 개발할 때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기준이다. 색온도 25,000K색온도는 빨강보다 파랑이 훨씬 더 뜨겁다. 하지만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저자가 쓴 타자기가 낡아서 하얀 동그라미(○) 기호와 검은 동그라미(●) 기호가 쉽게
구별
되지 않았다. “게재불가로 판정해야겠군.” 메이나드 스미스는 중얼거렸다. 그때였다. 메이나드 스미스의 시선이 ‘포괄 적합도’라는 단어를 담은 한 문장으로 향했다. 논문의 핵심 아이디어가 섬광처럼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뻐꾸기의 탁란을 피해 사람들이 사는 집 근처에 둥지를 만들게 되면서 뻐꾸기의 알을
구별
해내는 능력을 잃어버렸다는 거예요. 제비는 밥그릇 모양 집을 좋아해제비가 사람의 곁에 집을 짓기 시작한 건 제비의 둥지 모양과 관련이 있다는 설명도 있어요. 제비과에 속하는 4종의 새들은 모두 다른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조금 다르게 들린다. 아이아이는 레이더처럼 생긴 커다란 귀를 기울여서 그 소리를
구별
해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아낸다.일단 이렇게 애벌레의 존재를 알게 되면 다음은 날카로운 앞니를 내세울 차례다. 아이아이의 앞니는 매우 강력해서 열대 우림의 웬만한 나무는 다 뚫을 수 있다. 쥐가 대들보를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아이에게 고양이를 보여 주면서 ‘고양이’라고 알려 주면, 그 다음부터 고양이를
구별
할 수 있어요. 털이나 수염 등 고양이의 특징을 종합해서 기억하기 때문이에요.그럼 기계가 고양이를 구분하게 만들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실제로 구글은 2012년 딥러닝 방식으로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고양이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