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별"(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생체 인식에 이용할 수 있답니다. 그러나 망막은 눈 속 깊은 곳에 있어 사진을 찍어 구별하기가 어려웠어요. 그래서 비교적 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홍채가 생체 인식에 더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답니다.패턴을 숫자로 바꾼다!홍채 인식 기술의 기본적인 원리는 홍채의 모양을 컴퓨터 언어로 바꿔 ...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사람이 두 팔을 벌리고 서 있는 모양을 본떠 만들었지요. 그러다가 ‘사람 인(人)’과 구별하기 위해 ‘훌륭한 사람, 큰 사람’이라는 의미가 더해져 ‘크다’라는 뜻이 됐답니다.‘뭍 륙(陸)’은 ‘언덕 부(阝)’ 뒤에 ‘언덕 륙(坴)’이 붙어있어요. ‘언덕 륙(坴)’은 ‘흙 토(土)’ 사이에 ‘어진 ... ...
-
- 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일단 도망가자! 사람 많은 곳으로 들어가면 날 찾기 힘들겠지?! 스스로 척척 사람을 구별하는 스마트폰!생체 인식 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센서가 인식한 사람이 누구인지 정확히 알아내는 거예요. 하지만 그동안의 기술로는 인식률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생체인식 ... ...
-
- [해외취재] 비만 잡는 ‘움직이는 학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이상 25 미만이면 과체중, 25이상은 비만으로 분류한다. 하지만 어린이의 경우 BMI만으로는 구별할 수 없어서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도표에서 BMI가 85~94%에 해당하면 과체중, 95% 이상이면 비만으로 판단한다.세이나요키의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 학교를 찾아왔어요. 어? 그런데 교실에 책상만 있고 의자가 ... ...
-
- Part 3. 전자 심판으로 더욱 흥미진진한 2016 리우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화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어요. 인간의 눈이 감지하지 못하는 0.2㎜차이까지 구별해 낼 정도로 정확하지요.한국스포츠개발원의 길세기 선임연구원은 “전자 심판으로 정확한 판정은 물론,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경기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면서, “앞으로 운동 경기에서 전자 ... ...
-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준비~, 탕! 스타팅 건과 스타팅 블록예전에는 화약이 ‘탕’ 하고 터지는 소리로 육상 경기의 출발을 알렸어요. 하지만 공기 중에서 소리의 속도는 초속 약 340m로, 선수가 총에 ... 인식하는데, 그보다 400배 이상 정교하게 볼 수 있는 거예요. 그 결과 0.0001초의 차이도 구별할 수 있답니다 ... ...
-
- [과학뉴스] 알고 보면 똑똑한 새끼 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반복했지요. 실험 결과, 총 113마리의 오리 중 77마리의 오리가 모양과 색의 같음과 다름을 구별할 수 있었답니다. 같음이 각인된 오리는 같은 물체를, 다름이 각인된 오리는 다른 물체를 따라간 거예요.마르티노 박사는 “학습으로만 가능한 줄 알았던 행동을 새끼 오리가 본능적으로 해냈다”며, ... ...
-
- [헷갈린 과학] 자두 VS 살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짧아서 매화와 무척 비슷해요. 하지만 살구꽃은 꽃받침이 뒤로 젖혀져 있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답니다.살구 열매는 주황색으로 익는데, 햇빛을 많이 받은 부분은 붉은색을 띠기도 해요. 그 크기는 3cm 정도로 자두보다 작고 과육은 주황색을 띈답니다. 우리가 과일로 먹는 살구는 모두 외국에서 ... ...
-
-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마찬가지로 가슴의 노란 반점과 뾰족한 가시들이 없기 때문에 장수하늘소와 구별할 수 있답니다.참나무하늘소 역시 몸집은 커요. 하지만 참나무하늘소는 남쪽 지역에 주로 서식해요. 그리고 장수하늘소와 달리 날개딱지에 크고 작은 흰색의 반점이 있답니다.영양사슴하늘소는 큰턱과 넓은 몸집이 ...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평균적으로 0.5임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해밀턴은 “성비를 통하거나 친동생의 성을 구별하는 능력을 통해서 일꾼이 주로 여동생을 키울 것(해밀턴, 1975년, 213쪽)”이라고 제안했다. 남동생과 여동생을 동수로 키우는 게 아니라, 암컷 어른이 자신과 유전적으로 더 가까운 여동생을 덜 가까운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