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별"(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고등학교 과학 활동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함께 생각하기도 하고, 식물원처럼 많은 식물이 모인 곳에서 식물의 특징을 관찰하고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과학 실험으로 진로 탐색과학의 본질에 관한 탐구가 될 수 있는 활동이 바로 실험입니다. 학교별로 실시하는 실험캠프나 연구실 탐방, 정규 및 자율 동아리 활동 등을 ... ...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보입니다. 동네의 웬만한 개는 다 황금 개로 보는 셈입니다. 개는 파란색을 잘 구별하지만 자주색 역시 파란색으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황구가 백구보다 사납다?이건 뭐, 백구를 팔아넘기기 위해 개주인이 퍼뜨린 소문이 아닐까요? 찾아보니 백구나 황구와 달리 검은 털을 가진 흑구나 ... ...
-
- Part 3. 똥냄새 줄일 수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있어요. 또 암나무에는 없고 수나무에만 있는 유전 정보가 있어서, 이를 비교해 암수를 구별할 수 있지요. 그럼 열매가 열리지 않는 수나무 묘목만 골라 가로수로 심을 수 있답니다. DNA분석 기술이 개발된 이후 국립산림과학원에는 은행나무 성별을 분석해 달라는 의뢰가 꾸준히 늘고 있어요. 실제로 ... ...
-
- 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원인 중 하나로 핵실험을 의심해 볼 수 있지요. 인공지진과 자연지진은 지진파의 형태로 구별할 수 있어요. 자연지진은 지진파 중 땅을 앞뒤로 흔드는 P파가 먼저 도달하고, 그 뒤를 이어 S파가 땅을 위아래로 더 세게 흔들며 도착해요. P파는 초속 6~8km, S파는 초속 3~4km로 속도 차이가 나기 때문이지요 ... ...
-
- [헷갈린 과학] 주머니 속에 새끼를 쏙~! 캥거루 VS 왈라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48km 정도로 캥거루보다 느리지요. 이빨을 비교하면 가장 정확하게 캥거루와 왈라비를 구별할 수 있어요. 왈라비는 캥거루와 달리 위턱 셋째 앞니에 세로로 홈이 나 있고, 어금니 앞끝에 튀어나온 부분이 있거든요. 하지만 일반 사람들이 이빨을 보기는 어렵답니다. 다만 캥거루처럼 생긴 동물을 ...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고양이의 천연 소화제, 괭이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토끼풀과 잎의 모양이 똑같아 헷갈릴 수 있거든요. 이럴 땐 가장자리를 확인하면 확실히 구별할 수 있어요. 토끼풀 잎의 가장자리가 뾰족뾰족한 것과 달리 괭이밥은 밋밋한 모양을 하고 있답니다 ...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중생대 쥐라기에 살았던 스테고사우루스의 골판 크기만 가지고도 암컷과 수컷으로 쉽게 구별을 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어요. 수컷 골판의 면적이 암컷 골판보다 약 45%나 더 크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웠지요.연구팀은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골판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크기와 모양이 다른 ... ...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공룡들은 등에 거대한 다이아몬드 모양의 골판을 갖고 있어서 다른 공룡과 쉽게 구별할 수 있어요. 과학자들은 그동안 골판이 육식공룡의 공격을 막기 위한 ‘방어 무기’로 사용됐을 거라고 믿었지요. 그런데 최근 방어가 아닌 다른 기능을 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어요. 과연 검룡류 공룡은 왜 ...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구별하지 못하다가 계속 얼굴을 마주하며 시각적인 학습을 통해 엄마인지 아빠인지 구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성인이 된 뒤에도 새로운 사람을 계속 만나면서 뇌의 얼굴 인식 능력은 계속 발달한다. 결국 얼굴 인식 기능은 뇌의 다른 기능과 마찬가지로 학습을 거쳐 여러 신경세포들이 함께 ...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후 과학자들은 사람의 눈처럼 명암 변화를 감지해 훨씬 정교하고 세밀하게 얼굴을 구별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고안했다. 망막에 있는 신경세포 중 ‘알파 아마크린(alpha amacrine) 세포’는 명암의 변화 부위를 감지한다. 여기서 힌트를 얻어 얼굴 사진에서 밝기가 변하는 지점을 찾아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